MLCC 관련주 이슈 원인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4개월만에 삼성전기를 방문하여 MLCC 집중 육성 지시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MLCC 관련주들이 시장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MLCC 관련주 이슈 히스토리
2024.10.07 |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4개월만에 삼성전기를 방문하 MLCC 집중 육성 지시 소식 👉뉴스확인 ✅ 주도주 : 코칩 |
2024.09.23 | ✔️ 삼성전기가 세계 최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쓰이는 초소형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하였고,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자사의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제조 기술을 활용한 것으로 알려짐. 👉뉴스확인 ✅ 주도주 : 코칩, 대주전자재료 |
2024.08.06 | ✔️ 하반기 프리미엄 중심 스마트폰 시장 성장 전망 ✅ 주도주 : 삼화콘덴서, 코스모신소재 |
MLCC(Multi Layer Ceramic Capacitor, 적층세라믹콘덴서) 란?
- 가전제품의 필수부품으로 금속판 사이에 전기를 저장했다가 반도체에 필요한 만큼의 전기를 안정적으로 제어하여 반도체가 원활히 작동하도록 하는 전자부품.
- 전기가 통하지 않는 세라믹과 전기가 통하는 (금속)니켈판을 여러 겹으로 쌓는 고난도 기술이 필요.
- 얇은 두께의 내부에 최대한 얇게 많은 층을 쌓아야 많은 전기를 축적함.
- IT 고기능화 및 전장, 5G 등 새로운 수요처가 맞물려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MLCC 관련주 업종 동향 및 특징
- MLCC(적층세라믹콘덴서)는 전자제품 회로에 전류가 일정하게 흐르도록 제어하는 핵심부품으로 ‘전자산업의 쌀’이라고 불림.
- MLCC는 스마트폰에 집약적으로 사용. MLCC는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수많은 고성능 반도체 칩을 원활하게 가동해주면서 큰 부피를 차지 않고 효율이 높기 때문.
- 2024년 인공지능(AI) 붐과 스마트폰·노트북 등 정보기술(IT) 제품 판매량 회복세가 맞물려 칩 시장이 호황을 누리자 MLCC 판매량도 덩달아 증가 추세
- 전장용 MLCC는 IT기기 등 보다 훨씬 더 많은 수량이 장착됨. 전장용 MLCC는 자율주행 고도화, 파워트레인 전동화 등에 힘입어 구조적으로 성장 중.
- 전압 변동성이 큰 온디바이스 AI에서는 전류와 전압을 안정시키기 위해 MLCC 부품 도입 증가가 불가피하다는 분석
- MLCC 시장 규모는 2024년 23.03억 달러로 추산되며 연평균 성장률(CAGR) 21.57%로 성장해 2029년에는 61.16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
MLCC 관련주, 테마주, 대장주
코칩 (MLCC 대장주)
- 동사의 소형ㆍ초소형 슈퍼커패시터 제조사업은 2002년 삼성전기로부터 DLC사업부(슈퍼커패시터 사업부)를 양수하면서 시작되었음.
- 현재 “슈퍼커패시터”로 불리는 “카본계 이차전지” 중에서 “카본계 소형ㆍ초소형 이차전지(칩셀카본, ChipCellCarbone)”를 제조 및 판매하는 사업 영위 중.
- 삼성전기에서 제조한 MLCC(적층 세라믹 콘덴서, 삼성전기 제조)를 판매 중.
- 2024년 5월 7일 코스닥 시장 상장함.
🔎차트 자세히 보기
삼화콘덴서 (MLCC 수혜주)
- 종합콘덴서(축전기) 제조업을 영위
- 국내 유일의 콘덴서 종합 메이커로서 관계사인 삼화전기가 생산중인 전해콘덴서를 제외한 거의 모든 콘덴서, 즉 전력용 콘덴서(FILM), 단층 세라믹 콘덴서, 적층형 콘덴서(MLCC)를 생산하고 있음.
- 내수면에서는 대형 IT기업과의 안정적인 거래관계 유지로 경쟁사에 비해 상대적 우위에 있음.
- MLCC가 전체 매출에서 약 50% 차지.
🔎차트 자세히 보기
대주전자재료 (MLCC 테마주)
- 전자제품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전자부품용 소재를 종합적으로 개발, 제조, 양산할 수 있는 전자재료 전문기업.
- 생산 제품들은 스마트폰, 노트북 등에 사용되는 칩형 전자부품에 응용되는 칩부품용 전극재료와 LED용 형광체, AMOLED 재료, 태양전지용 전극재료, 이차전지 음극재료 등이 있음.
- LED용 형광체는 LG화학 형광체 사업부를 인수하여 세계 2위의 생산능력을 확보함.
- MLCC 등 전자부품에 쓰이는 전도성 페이스트,형광체,기타 고분자재료 생산/판매. 삼성전기에 MLCC용 전극 페이스트 단독 공급
🔎차트 자세히 보기
코스모신소재 (MLCC 관련주)
- 기능성필름(이형필름, 점착필름, 인슐레이션필름)과 2차전지용 양극활물질, 토너, 토너용 자성체 등을 제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NCM 양극활물질 사업은 시장확대와 고객사의 요구에 맞춰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며, MLCC용 이형필름도 전방 산업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추세라 3공장을 증설함.
- 삼성전기, 삼성SDI 등의 메이저브랜드들이 최대 매출처임.
- MLCC를 생산할 때 특수 가공을 한 필름을 붙였다 떼어 버리는데 이게 ‘이형필름’으로 MLCC 제조단가에서 10% 이상을 차지하는 핵심 소재
- MLCC 이형필름은 코스모신소재 전체 매출 40%를 차지
🔎차트 자세히 보기
아바텍
- 코팅 및 식각 기술을 활용하여 휴대폰, TV, 태블릿 PC 등의 디스플레이 관련제품과 가전제품 생산에 사용되는 부품 및 원재료를 공급하고 있음.
- 동사의 주요 제품으로는 디스플레이 패널 공정의 Glass Slimming, ITO코팅 & Metal 코팅이 있음.
- 그 외 제품으로는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인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및 가전제품의 표면처리가 있음.
- 전자제품, IT용, 전장용 MLCC를 양산중이며, 산업용(X7R) 고용량 MLCC 개발 완료.
- 아바텍의 신사업 MLCC 매출 비중이 30%를 돌파 (2023.11)
🔎차트 자세히 보기
네온테크
- 산업용 드론 사업의 입찰 경쟁 시 기술 점수 부문에서 10여곳의 경쟁업체들 대비 상위 1~3위 수준을 확보하고 있음.
- 자동화 설비(FA System) 중 제어장치 및 모터 상품 제조, 반도체/LED/MLCC용 절단 장비 제조 등을 주력 사업으로 영위.
- 유통 분야에서 주요 자동화설비 제조사와 20년째 대리점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해오고 있어 타사에 비해 경쟁력을 가지고 있음.
- 반도체/LED/MLCC용 절단 장비 부문 주요 제품으로는 Dicing Saw(반도체/LED), Saw & Sorter(반도체/PCB), MLCC Cutter(MLCC) 등이 있음.
- 반도체 및 MLCC 절단장비인 커터를 주력 생산 중이고 삼성전기의 중국 톈진 신공장 전장용 MLCC 절단장비를 단독 공급
🔎차트 자세히 보기
삼성전기
- 수동소자(MLCC, 칩인덕터, 칩저항)를 생산하는 컴포넌트 사업부문, 카메라모듈/통신모듈을 생산하는 광학통신솔루션 사업부문, 반도체패키지 기판을 생산하는 패키지솔루션 사업부문으로 구성.
- 지역별로는 국내에 총 3개의 생산기지(수원, 세종, 부산)와 해외 총 6개의 생산기지(중국, 필리핀, 베트남)를 보유함.
- AI 관련 IT 기기의 하드웨어 상향 전망으로 고부가가치인 MLCC, FC BGA 매출 비중이 증가 추세임.
- 주요 제품으로 MLCC(Multi Layer Ceramic Capacitors), Inductor, Chip Resistor 등이 있음. 0402(0.4mm×0.2mm) Size 등의 초소형 MLCC 등 고객의 Size 요구에 맞는 제품 개발 및 공급.
🔎차트 자세히 보기
아모텍
- 수동전자부품 및 BLDC모터 전문 제조기업임.
- 사업부문은 크게 세라믹 칩 부품, 안테나 부품, BLDC 모터 부문으로 나누어짐.
- 국내는 물론 중국, 대만, 미국, 유럽 등에서도 제품을 판매함. 당기말 현재 중국 및 베트남 현지 생산법인 등 총 4개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를 보유하고 있음.
- 2019년 상반기 본격적인 양산을 목표로 복합 MLCC 개발을 진행했으며, 중국 통신업체향 MLCC 납품 기대감.
- 중국 1위 전기차 업체에 적층세라믹커패시터(MLCC)를 공급
🔎차트 자세히 보기
한울반도체
- 머신비전(Machine Vision) 및 화상처리를 통한 전자 부품, 디스플레이,필름 검사 S/W 개발 및 장비를 제작함.
- 전자 부품 관련 검사장비 관련 CI(Chip Inspector) 사업, 디스플레이 관련 검사장비 사업부인 LI(LCD inspector) 사업, 필름 관련 검사장비인 FI 사업으로 분류됨.
- 머신비전 기술을 기반으로 한 AI 머신비전 개발, X-ray 검사장비 개발등 신사업 개발 중임.
- 분당 8000개의 MLCC 검사가 가능한 초고속 외관검사기와 국내 최초로 개발한 MLCC 자동 복합 특성검사기 판매
- 최근에는 필름 외관 검사 장비에 AI 머신 러닝을 적용한 검사 장비를 자체 개발해 상용화
🔎차트 자세히 보기
원준
- 2차전지(양극재, 음극재) 소재 열처리 장비를 제공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2차전지 소재 생산을 위한 열처리 장비를 제공하는 소성로 사업과, 2차 전지 소재 공정설비 엔지니어링 사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함.
- 주요 고객사로는 ㈜포스코케미칼, ㈜에스엠랩, ㈜엘지화학 등이 있으며, 고객사에 맞춤형 제품 개발 및 생산공정 설비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음.
- 삼성전기의 핵심 협력사이면서 MLCC 소성용 RHK(Roller Hearth Kiln)를 최초로 국산화
🔎차트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