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6G 관련주 통신장비 TOP20+ | 대장주, 테마주, 수혜주

Photo of author

By 붉은말 : 부의 혁명

5G 6G 관련주

5G 6G 관련주 이슈 원인

인공지능(AI) 산업 발전에 따라 통신 장비 업종에 수혜가 예상된다는 분석에 따라 5G 6G 관련주들이 시장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6G 같은 새로운 네트워크 출현 및 성공을 위해서는 트래픽 증가와 새로운 주파수가 필요하기 때문에 통신장비 투자를 이끌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5G 6G 관련주 이슈 히스토리

2024.03.21AI(인공지능) 활성화로 신규 주파수 투자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 📢 뉴스확인
2024.01.11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새해 첫 경영행보로 ‘6G 기술’을 택하며 차세대 통신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 📢 뉴스확인
2023.10.04정부가 LG전자, 현대중공업 등 물류센터와 조선소 등에 5G특화망인 이음5G를 활용 📢 뉴스확인
2023.08.236G 기술 개발사업 예타 통과 (5G 한계 극복할 대역대 개발) 📢 뉴스확인

5G 6G 관련주 업종 동향 및 특징

5G 동향

  • 5G는 일반 소비자가 사용하는 3.5㎓ 대역과 메타버스·자율주행 등 고부가가치 산업이 이용할 28㎓ 대역으로 나눠짐
  • 통신3사는 당시 적극적으로 28㎓ 대역을 경매로 받았으나 마땅한 수요처를 찾지 못했고 결국 통신3사는 의무구축대수(1만5000대)를 채우지 못해 순차적으로 과기정통부로부터 주파수 할당취소 처분을 받게 됨(2023.06.01).
  • 2024년 핵심 시장으로 거듭날 인도 매출이 하반기부터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 인도 이동통신 가입자수는 약 12억명으로, 2025년까지 5G 가입자 수는 8000만명을 넘길 것으로 전망. 

6G 동향

  • 정부는 차세대 네트워크로 꼽히는 6G의 주도권 확보를 지원하기 위해 ‘6G 포럼’을 출범(2023.05.31)
  • 2025년까지 총 1917억원을 투입해 6G 원천기술개발을 진행, 향후 상용화 기술을 종합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후속 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 조사(2024~2028년, 총 6253억원)도 추진.
  • 6G는 2025년 글로벌 표준화 절차를 시작해 2030년을 전후로 본격적으로 상용화될 것으로 예상.
  • 한국과 미국은 양국 정상회담 후속 일환으로 6G, 오픈랜 등 디지털 분야에서 전략적 협력을 강화하기로 발표. 양국은 5G와 6G, 오픈랜 분야에서 연구개발 협력 강화와 제3국에서 통신 공급망 제고할 수 있도록 기술지원 등에 협력하기로 결정(2023.09.14).

통신장비 산업분석

  • 통신장비 업종이 인공지능(AI) 산업 발전에 따른 수혜가 예상
  • 새로운 네트워크 출현 및 성공을 위해서는 트래픽 증가와 새로운 주파수가 필요하기 때문
  • 최근 화웨이, 노키아 등 통신장비업체들이 5G 어드밴스드(Advanced) 상용화, 6G 레디(Ready) 장비 출시를 예고했다”며 “삼성전자도 이 같은 흐름에 편승하며 5G 도입기 초반 부진에 대한 설욕을 준비 중
  • 통신업계 전반적으로 AI가 급부상하는 가운데 고주파수 발굴이 본격화. 새로운 네트워크가 출현하고 성공하기 위해선 트래픽 증가와 새로운 주파수가 필요한데 최근 이러한 움직임이 포착
  • 최근 과기부가 발표한 디지털 스펙트럼 플랜을 보면 오는 6~7월 주파수 할당 공고에 이어 10~11월 주파수 경매가 이뤄질 전망
  • 현재 상황은 LTE 레디 장비가 도입됐던 2010년과 흡사하며 AI의 활성화가 5G 어드밴스드 조기 상용화와 6G 레디 장비 도입을 촉진할 가능성이 높음

5G 6G 관련주, 테마주, 대장주

옵티코어 (5G 6G 대장주)

  • 5G 이동통신의 핵심부품인 광트랜시버와 광다중화장치 개발·생산.
  • SK텔레콤 등 국내외 통신사업자들에 공급.
380540

차트 자세히 보기

센서뷰 (5G 6G 수혜주)

  • 무선주파수(RF) 연결 솔루션 보유 기업.
  • 5G 안테나, 방위산업용 안테나, 반도체 측정장비, 5G용 다중핀 커넥터 등을 개발 및 양산.
321370

차트 자세히 보기

케이엠더블유 (5G 6G 테마주)

  • 세계 최초로 개발한 마이크로 벨로우즈 필터 장착된 스몰셀 장비 개발.
  • 기지국에 장착되는 네트워크장비(MMR)와 초소형 필터(Micro Bellows Filter) 생산
032500

차트 자세히 보기

에이스테크 (5G 6G 테마주)

  • 고주파부품(RF), 기지국안테나, 중계기 등의 무선통신사업 영위.
  • RF장비는 데이터의 양과 그 처리속도가 증가할수록 수요 증가.
  • 주 고객사는 삼성전자, 에릭슨 등.
088800

차트 자세히 보기

피피아이 (5G 6G 수혜주)

  • 데이터센터 및 통신용 AWG(도파로 회절격자), PLC 스플리터, 계측기, 광통신 관련 상품(5G MUX) 등을 생산.
  • KT,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중국 SDGI사 등에 공급.
062970

차트 자세히 보기

쏠리드 (5G 6G 관련주)

  • 유/무선 네트워크 장비 제조.
  • 국내외 통신사업자에 DAS와 ICS 및 RF중계기를 주력으로 납품.
  • 17년 5G-PON 개발. 18년 국내용 5G 무선 중계기를 개발.
050890

차트 자세히 보기

라이콤 (통신장비 관련주)

  • 통신용 광증폭기를 개발하여 네트워크 장비 슬롯에 바로 체결하여 제한없이 적용가능한 P&P 광증폭기(SFP+타입)를 세계최초로 상용화
388790

차트 자세히 보기

세종텔레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5G 28㎓ 주파수 할당 공고에 적격 판정에 주파수 경매 참여 자격 획득
036630

차트 자세히 보기

다산네트웍스

  • 모바일 데이터를 유선망으로 연결하는 모바일 백홀을 생산.
039560

차트 자세히 보기

와이어블

  • 공용무선기지국(중계망) 전문업체.
  • LGU+ 수도권 지하철(1-8호선) 5G공사 수주.
  • 케이티와 지하철 5G 무선망 공사 계약을 체결.
065530

차트 자세히 보기

이노와이어리스

  • 이동통신용 시험장비, 계측장비의 제조.
  • 17년 Small Cell 솔루션사업을 분할하여 큐셀네트웍스를 설립.
  • 스몰셀 개발 및 생산 시 성능 시험 및 주파수 조정을 위한 스몰셀용 계측기 생산.
  •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초소형 기지국 SmallCell 수혜 예상.
073490

차트 자세히 보기

오이솔루션

  • 전기 신화와 공 신호를 서로 바꿔주는 매개체인 광트랜시버 생산.
  • 광송수신 모듈 생산하며 고용량 데이터 송수신 핵심 부품으로 부각
  • 고용량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위해서는 고가의 고용량 광커넥터가 필요하다는 점이 부각되며 5G 개화에 따른 수혜 기대.
  • 주요 고객사는 삼성전자, 노키아 등.
138080

차트 자세히 보기

에치에프알

  • 유무선 정보통신기기 개발 및 제조 업체.
  • LTE와 5G 트래픽을 광선로로 다중화해 전달하는 통합형 전송 장비 및 Fronthaul 관련 장비, 인빌딩광분산장치(DAS)를 한국, 미국, 일본, 말레이시아 등에 납품.
  • 2019년 5G-PON(5G용 Fronthaul) 장비 공급. 신규 사업으로 5G 용 uRadio, 양자암호화, G.FAST, 802.11ax AP 개발 중.
230240

차트 자세히 보기

RFHIC

  • 기존 제품 대비 고효율을 발휘할 수 있는 전력 증폭기 GaN 트랜지스터 개발·생산해 삼성전자 등에 공급.
218410

차트 자세히 보기

에이치시티

  • 시험 인증 및 교정 전무 업체. 5G 스마트폰 시험 인증, 5G 기지국 장비 모델 인증 적합성 평가 시험 기관으로 지정됨.
  • 최초로 베트남 5G 기지국 규격 익가권 획득함.
072990

차트 자세히 보기

코위버

  • 평창올림픽 KT 5G 시범서비스 백본망에 ROADM 장비 공급.
  • 5G-PON/광단말장치(엑세스망) 장비의 핵심적인 원천 기술을 보유.
  • 5G 이동통신망 구축에 대비한 ROF기술 습득을 위한 ETRI와 협력 체계 구축.
056360

차트 자세히 보기

머큐리

  • AP 단말기, 광케이블 등의 정보통신장비를 생산해 국내 통신 3사(KT, SKB, LGU+)를 대상으로 유·무선 공유기를 제조하는 단말장비 제조업체.
100590

차트 자세히 보기

유비쿼스

  • 이동통신사들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축하는 가입자 망에 사용되는 스위치, FTTH 등 생산.
  • 5G 서비스 유선 인프라 장비인 백홀·프론트홀 장비도 개발·제조.
264450

차트 자세히 보기

서진시스템

  • 매크로셀 및 부품에 해당하는 통신장비 함체 등을 제조.
  • 주요 고객사는 삼성전자 등.
178320

차트 자세히 보기

우리넷

  • 모바일 안테나 기업인 스카이크로스를 인수하여 5G용 안테나 양산.
  • 주요 매출처는 KT, SK브로드밴드 등 기간통신사업자이며 광통신장비인 MSPP, 음성서비스 기반의 AGW장비 등을 판매하고 있음
  • 기존 MSPP 장비에 WDM 기능 추가로 개발 및 사업화 추진 중으로 Metro DWDM 시장에 적용 중이며 2011년 이후 Carrier Ethernet 장비가 신규로 등장하여 시장이 확대됨.
115440

차트 자세히 보기

기가레인

  • RF케이블 조립체, RF커넥터 제조.
  • 국내 1위 모바일 RF커넥티비티 공급사. 국내 유일 4.5G, 5G 네트워크인프라 대응(6GHz+) RF 역량 보유.
  • KT의 협력업체로 평창 5G 통신 시범사업에서 와이파이AP 관련 일부 부품을 납품 이력 보유
049080

차트 자세히 보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