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PBR 수혜주, 대장주 | 관련주, 테마주

Photo of author

By 붉은말 : 부의 혁명

저 PBR 수혜주

저 PBR 수혜주 이슈 원인

금융당국이 PBR(주가순자산비율)이 낮은 종목의 가치를 높이는 정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며, 저 PBR 수혜주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17일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PBR이 낮은 기업은 기업 가치를 어떻게 높일지 공시하게 유도하는 제도를 운용하려고 한다”고 말했습니다. 한국증시 저평가(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해 개별 종목의 저평가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볼 수 있습니다.

저 PBR 수혜주 이슈 히스토리

2024.01.29금융당국이 PBR(주가순자산비율)이 낮은 종목의 가치를 높이는 정책 수립 고려

PBR 의미

PBR은 현재 주가를 주당 순자산(BPS) 가치로 나눈 개념으로, 1배를 밑돌면 기업의 자산 가치보다 시가총액이 낮다는 뜻입니다.

회사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반영한 ‘시가총액(시장가치)’과 회사가 모든 빚을 갚고 남은 자산의 가치인 ‘장부가치’를 비교할 때 주로 활용됩니다.

PBR은 순자산이 많거나 주가가 하락하면 낮아지기 때문에 PBR이 1배 이하라고 반드시 좋은 투자 기회는 아닙니다. 과도한 현금 축적 등으로 현금이 많아 보일 수 있고, 또한 미래 성장 가능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받아 주가가 하락할 경우 PBR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PBR 종목을 확인할 때는 미래 현금 창출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저 PBR 수혜주 업종 동향 및 특징

  •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024.01.17기준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종목 2538개 중 PBR이 장부상 가치(1배)에 미치지 못하는 종목은 1111개. 전체 상장사 43.7%의 현재 주가가 청산 가치에 미치지 못하고 있음.
  • 종목별 PBR을 살펴보면 전체 업종 중 유통업의 PBR이 상대적으로 낮음.
  • 저PBR 업종은 대부분 내수주나 성숙기 단계에 진입한 산업으로 주가가 오를 만한 호재가 많지 않음.
  •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지배구조 개선이나 자사주 소각 등을 추진한다면 주가가 반응할 수 있음.
  • 정부 개입이 시장 질서를 해칠 수 있다는 견해. “낮은 PBR 기업은 주가 부양을 위한 단기 정책보다는 업종 전환 등 중장기적 경영 판단이 기업 가치를 올리는 중요한 요소”라며 “주가 압박이 기업 영속성을 떨어트리는 규제가 될 수도 있음.
  • 과거 미국 금리가 경제 성장률을 압도했던 시기 한국 저 PBR주의 강세

저 PBR 순위

EPS 0 이하는 제외

저 PBR 순위 – 코스피

순위종목명PERPBR
1넥스틸0.780.03
2티와이홀딩스1.540.09
3한신공영1.870.12
4전방0.400.13
5태영건설1.570.13
6태광산업1.990.16
7계룡건설2.060.16
8HL D&I6.800.18
9넥센12.840.18
10대한화섬3.880.18
11현대지에프홀딩스5.840.18
12세이브존I&C9.810.19
13이마트2.160.19
14강남제비스코19.660.20
15교보증권7.090.20
16부국증권4.820.20
17세아홀딩스3.350.20
18유화증권31.940.20
19화천기공1.830.20
20동부건설3.070.21
< 2024.12.29 기준 >

저 PBR 순위 – 코스닥

순위종목명PERPBR
1위니아에이드1.370.12
2SG&G1.340.18
3유성티엔에스1.190.18
4티케이케미칼0.610.18
5대원3.410.19
6KCC건설21.300.21
7성도이엔지50.190.22
8골프존뉴딘홀딩스1.820.23
9서한2.360.23
10세원물산3.470.23
11아시아경제2.360.23
12원익홀딩스2.470.23
13이베스트투자증권10.350.23
14SGC이테크건설1.130.24
15모베이스3.990.25
16상상인3.910.25
17해성산업8.000.25
18원익1.710.26
19원일특강3.570.26
20유진기업8.290.26
< 2024.12.29 기준 >

최대주주 지분율 50% 이상 + 저 PBR

순위종목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지분율
PBR
1흥국화재79.20.14
2태광산업54.50.14
3대한화섬61.70.17
4세원물산78.40.17
5한화손해보험51.40.18
6넥센59.80.18
7유성티엔에스62.00.18
8세이브존I&C52.80.19
9강남제비스코50.70.20
10KCC건설68.00.20

추정 실적 기준 저 PBR 순위

순위종목명EPS(E)PBR(E)PERPBR
1이마트406,0190.172.650.24
2HL D&I9,5700.215.030.29
3한국가스공사114,5040.212.240.32
4한진98,3430.226.610.22
5롯데쇼핑338,6800.220.27
6BNK금융지주31,5410.232.620.21
7현대제철145,3420.234.010.22
8현대백화점208,9300.239.580.29
9현대홈쇼핑178,1590.237.490.32
10지역난방공사123,0130.240.20
11DGB금융지주35,1740.242.940.22
12GS건설54,9680.275.340.37
13한화86,2460.281.910.48
14GS145,3480.291.940.33
15롯데지주86,4850.2919.080.36
16삼성생명221,4800.298.970.58
17기업은행39,0390.302.820.27
18HL홀딩스109,0660.30104.000.31
19우리금융지주41,8820.312.680.29
20DL170,9050.3118.540.34

저 PBR 수혜주, 테마주, 대장주

이마트 (저 PBR 대장주)

  • 제조업체 및 유통업체, 직수입 등 다양한 채널로 구매, 제조한 상품을 대형마트, 슈퍼마켓, 편의점 등 소비자를 직접 대면하거나 인터넷, 모바일 등의 매체를 통해 비대면 판매함.
  • 대형마트 및 창고형 할인매장 154개점, 슈퍼마켓 263개점, 편의점 6,761개점, 복합쇼핑몰 7개점과 온라인 쇼핑채널 등을 운영하고 있음.
  • 매장공간 재구성과 상품구성 최적화를 통해 기존점 성장에 매진할 계획이며, 신규 오픈 등을 통해 성장을 추진 중임.
139480

차트 자세히 보기

한국가스공사 (저 PBR 수혜주)

  • 천연가스 도입 및 판매 기업
  • 해외에서 LNG를 도입하여 국내의 발전사 및 도시가스사에 공급하며, 해외에서 자원개발 및 LNG 생산 사업 등을 추진 중.
  • 탄소중립 및 저탄소 친환경 에너지 시대를 맞아 LNG 벙커링, 해외 Gas to Power, 냉열 등 신규 LNG 사업 발굴을 진행하고 있음.
036460

차트 자세히 보기

HL D&I (저 PBR 테마주)

  • 종합건설업체로 사업부문은 건설사업부문, 기타사업부문으로 나뉨.
  • 건설사업부문은 아파트/오피스텔/주상복합/지식산업센터/물류센터 등 주택 및 건축분야, 항만/공항/도로/철도 등 토목분야 등이 있음.
  • 기타사업부문으로는 물류단지 운영 및 임대, 항만/해상운송업, 폐기물/수처리분야 설계,시공,운영 등의 영업을 영위하고 있음.
014790

차트 자세히 보기

롯데쇼핑 (저 PBR주)

  • 백화점 경영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23년 기준 총 39개의 종속회사가 있음.
  • 사업부문은 백화점 사업부문, 할인점 사업부문, 전자제품전문점 사업부문, 슈퍼 사업부문, 홈쇼핑 사업부문, 영화상영업 사업부문, 이커머스 사업부문, 기타 사업부문으로 세분화 됨.
  • 2023년 매출액 기준 백화점 부문 21.7%, 할인점 부문 40.2%이며, 전자제품전문점 부문 18.6%를 차지함.
023530

차트 자세히 보기

BNK금융지주 (저 PBR 수혜주)

  • 부산은행, BNK투자증권, BNK신용정보, BNK캐피탈이 공동으로 주식의 포괄적 이전 방식에 의해 설립한 지방은행 최초의 금융지주회사임.
  • 2015년 경남은행의 계열사 편입으로 부산/경남은행 두 은행 체제가 되었음.
  • 2015년에 GS자산운용(BNK자산운용 사명 변경)을 자회사로 편입하여 은행, 증권, 자산운용, 여신전문, 저축은행업 등을 포괄하는 종합금융그룹이 됨.
  • 2019년 11월 BNK벤처투자를 자회사 편입함.
138930

차트 자세히 보기

한진 (저 PBR 테마주)

  • 물류 사업, B2B/B2C 택배사업, 국제특송 및 해외주선업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 해외 18개 국가에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포워딩, 국제특송, Project/Commercial Cargo의 국제운송 서비스를 통해 Global Smart Logistics Solution을 제공함
002320

차트 자세히 보기

현대제철 (저 PBR 관련주)

  • 철강영업부문(판재, 봉형강, 중기계 등) 및 기타영업부문(반제품, 부산물 등)을 영위.
  • 고로 부문에서는 현대자동차그룹 내 공동 연구개발을 진행하는 한편 2013년말 현대하이스코 냉연사업 부문을 분할합병하여 자동차용 강판에 특화된 전문 기업으로 변모함
004020

차트 자세히 보기

현대백화점 (저 PBR 관련주)

  • 현대그린푸드의 백화점사업부문을 분할하여 설립되었음.
  • 동사는 백화점업과 면세점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아울렛 사업 등 신규사업 또한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음.
  • 21년 2월 더현대서울을 신규 오픈하였으며, 2025년 현대시티아울렛 청주점 출점을 계획하고 있음.
069960

차트 자세히 보기

현대홈쇼핑

  • 지배회사 및 주요 종속회사는 홈쇼핑업, 건축자재업 부문을 영위하고 있으며 동사는 TV홈쇼핑, 인터넷쇼핑몰 사업을 주로 영위.
  • 종속기업 (주)현대엘앤씨와 그 종속기업(이하 (주)현대엘앤씨)은 플라스틱 창호 제조업 등을, 주요 자회사 ㈜한섬으로 여성의류의 제조 판매업을 영위하고 있음. 
057050

차트 자세히 보기

지역난방공사

  • 집단에너지사업, 전력사업, 신·재생에너지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음.
  • 주요 제품은 열, 냉수, 전기로, ’23년 6월 말 기준, 총 19개 사업장에서 1,813천호의 공동주택과  2,881개소(냉방 1,316개소 포함) 건물에 냉·난방을 공급함.
071320

차트 자세히 보기

한화

  • 한화그룹의 지주회사 역할을 하고 있으며 한화생명,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케미칼 등 계열사 지분 보유.
  • 자체사업은 화약/방산/기계/무역 부문이 있음. 화약부문은 발파기술사업, 발파해체사업, 불꽃프로모션사업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대, 방산부문은 정밀유도무기를 포함한 정밀타격 전 분야로 사업영역을 확대
000880

차트 자세히 보기

DL

  • 2021년 1월 4일 대림산업의 인적, 물적 분할을 통해 순수 지주회사로 전환하였음.
  • 2021년 5월 1일 기준 동사가 속한 기업집단명은 대림에서 ‘DL’로 변경됨.
  • 물적분할을 통해 석유화학제품을 생산하는 화합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을 영위하는 DL이앤씨와 DL케미칼을 설립하였음.
  • 2021년 3월 11일 지주회사로 전환하였으며, 브랜드수수료, 배당수익, 임대수익 등 지주회사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000210

차트 자세히 보기

태광산업 (저 PBR 대장주)

  • 주요 사업으로 PTA, AN 등을 생산하는 석유화학부문과 원사, 직물 등을 생산하는 섬유부문 등을 영위하고 있음.
  • 제조 및 임대부문은 품질과 설비 우위를 통한 경쟁력을 확보하고 PTA, 프로필렌, AN 등 석유화학공장 가동을 통해 수직계열화를 구축하며 업계를 선도함.
  • 연결 실체 중 방송통신부문은 종합유선방송사업자로서 ‘티브로드’라는 서비스명으로 케이블 TV방송, 초고속인터넷 서비스 등의 사업을 영위함.
003240

차트 자세히 보기

대한화섬 (저 PBR 관련주)

  • 합성섬유의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
  • 직물용으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터 제조 및 판매를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공장은 울산에 있으며 연간 생산능력은 65,700톤임. 동사를 포함하여 섬유/석유화학부문, 미디어부문, 금융부문, 인프라/레저부 등 총 24개사의 계열회사가 있음.
003830

차트 자세히 보기

흥국화재

  • 1948년 고려화재해상보험주식회사로 설립되어, 2006년 태광그룹에 편입. 2009년 현재의 흥국화재해상보험주식회사로 변경함.
  • 업계 대비하여 장기보험의 비중이 높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설계사 조직의 정착률은 업계 평균대비 지속적으로 양호한 수치를 기록하고 있음.
000540

차트 자세히 보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