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용 마리화나 관련주 이슈 원인
미국 대선에서 민주당 후보가 해리스에 이어 공화당 후보 트럼프도 마리화나 합법화에 찬성한다고 밝히면서,
마리화나 관련주들이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의료용 마리화나 관련주 이슈 히스토리
2024.09.10 | ✔️ 미국 공화당 대통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21세 이상 성인이 기분전환 목적으로 마리화나(대마)를 사용하는 것을 합법화하는 데 찬성 👉뉴스확인 ✅ 주도주 : 우리바이오, 오성첨단소재 |
2024.07.19 | ✔️ 조 바이든 대통령을 대체할 민주당 대선 후보로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 부각 (해리스 부통령은 과거 마리화나(대마초)의 비범죄화를 추진) 👉뉴스확인 ✅ 주도주 : 우리바이오 |
2023.11.06 | ✔️ 식약처 대마성분 의약품 ‘Kanbis’ 국내 도입 검토 소식 |
2023.10.12 | ✔️ 미국 보건 당국이 대마(마리화나)에 대한 규제 완화를 추진 |
2023.09.28 | ✔️ 미국 상원 위원회, 마리화나 뱅킹 법안 추진 의결 |
마리화나 관련주 업종 동향 및 특징
- 칸나비디올(Cannabidiol, CBD)은 대마초(Cannabis)에서 추출되는 성분으로, 통증 완화, 불안 진정, 수면 개선 등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반면 역작용으로 동남아에서는 대마 합법화 논란이 지속
- 독일 정부도 1인당 대마초 보유를 25g까지 허용하고 개인 용도로 최대 3그루까지 재배할 수 있는는 것을 골자로 한 법안 초안을 승인(2023.08.16).
- 태국도 2022년 6월 향락 목적이 아닌 의료 목적의 대마초를 아시아 국가로서는 최초로 합법화하고, 대마초를 사용이 금지된 마약성 물질 목록에서 제외(2022.06.09).
- 한국은 공무상, 학술연구 또는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에서 수입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마를 수출입, 제조, 매매가 금지.
- 2024년 11월 미국 대선에 앞서 마리화나가 주목받고 있음. 낙태권과 함께 마리화나는 청년층에게 민감한 이슈로 규제 완화시 청년 유권자들을 공략할 수 있는 정책
- 미국 대선에서 민주당 후보가 해리스에 이어 공화당 후보 트럼프도 마리화나 합법화에 찬성 (2024.09.10)
- 마리화나는 성장성이 매우 높은 신소재 사업 분야로 꼽히고 있음. 2023년 CBD 시장 규모는 54억9000만달러로 추정되며 2024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17.5%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
마리화나 관련주, 대장주, 테마주
우리바이오 (의료용 마리화나 대장주)
- 건강기능식품 OEM/ODM 제조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관련 연구에서는 국내 고유 약용식물의 재배 및 스마트팜(식물공장) 개발과 천연물 소재의 성분 추출을 통한 개별인정형 원료 개발을 진행하고 있음.
- FPCB(연성회로기판)의 생산 및 판매, 레진(RESIN), 천연건강기능식품 등 소재물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의료용 대마 재배·성분 연구 개발 업체.
- 정밀 재배기술을 이용해 대마를 재배하고 고순도 원료의약품 성분을 추출·정제하는 기술 개발 중.
- LED 기술을 이용해 대마의 생산을 촉진하고 특정 성분 순도를 높이는 시스템 기술을 보유.
차트 자세히 보기
한국비엔씨 (의료용 마리화나 관련주)
- 더말필러(Dermal Filler) 등 미용성형용 의료기기, 창상피복재 등 수술, 시술용 의료기기를 개발 및 생산하고 있음.
- 더말필러 등 메조테라피제품, 유착방지재, 콜라겐흡수성창상피복재와 콜라겐조직보충재의 4가지 의료기기 제품군이 주된 매출을 발생시키고 있음.
- 유셀파마와 대마줄기, 헴프(환각 등을 유발하는 THC 성분이 0.3% 이하로 거의없는 품종)를 이용해 비알콜성지방간 치료 등의 신약과 화장품 등을 공동개발하는 양해각서를 체결한 바 있음.
차트 자세히 보기
오성첨단소재 (칸나비디올 관련주)
- 액정표시장치(LCD) 장비기업.
- 디스플레이용(TV, IT) 광학필름 및 기능성필름을 개발, 생산하여 국내외 업체에 판매를 하고 있으며, 그 밖에 부동산 임대업을 영위하고 있음.
- 종속회사인 카나비스메디칼에서는 의약품, 의료개발, 의료용 연구개발업을 영위하고 있음.
- 자회사 카나비스메디칼(지분 50.8%)이 2018년부터 KAIST와 의료 목적의 마리화나 주요성분인 칸나비디올(CBD)을 중심으로 한 카나비노이드(cannabinoid) 연구개발 진행하고 있으며, 마리화나 관련 특허도 보유.
차트 자세히 보기
엔에프씨 (CBD 관련주)
- 고기능 화장품 소재 및 완제품(ODM·OEM) 제조 업체.
- 화장품 베이스 소재를 만드는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고기능성 화장품 소재 생산 및 화장품 ODM/OEM 사업도 함께 영위하는 기업임.
- MLV(Multi-Lamellar Vesicle)기술, 나노리포좀기술, 무기합성기술 등의 소재 관련 기술로 화장품 소재를 생산하고 있음.
- 한국콜마, KIST 등과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해 대마에서 CBD를 추출 및 분리정제해 고순도 의약품원료를 개발하는 국책사업 업체로 선정돼 경상북도 안동시에 연구소를 설립.
- 2021년 3월에는 미국 의료용 대마 관련 소재 추출·가공 업체인 제라인터내셔널과 의료 및 화장품용 대마 연구·개발에 관한 업무협약(MOU) 체결을 체결한 바 있음.
차트 자세히 보기
애머릿지 (마리화나 테마주)
- 동사와 연결회사의 주요 사업은 의류 소매 사업부문, 카나비스 사업부문으로 구성.
- 주력 사업인 의류 소매 사업부문에서는 미국 각 주의 의류 매장에서 ‘Papaya’ 브랜드 등의 의류 및 액세서리를 판매하고 있음.
- 동사의 카나비스부문은 합법적인 제조업체 및 유통업체에서 납품 받은 카나비스 상품을 캘리포니아 로스엔젤레스에 소재한 판매점에서 개별 소비자에게 판매하고 있음.
- 미국 로스앤젤레스(LA) 등 현지에서 의료용 카나비스 제품 등을 제조·판매
차트 자세히 보기
화일약품 (의료용 대마 테마주)
- 원료의 제조, 판매 등을 주 영업 목적으로 설립됨. 1
- 기존의 원료의약품 사업분야에서 코엔자임큐텐을 비롯한 식품원료, 완제 사업인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 사업으로 사업분야를 다각화함.
- CGMP급 설비시설을 갖춘 원료합성공장을 추가로 신축하여 BGMP승인을 받았으며, 2018년부터 일본 등 선진시장 수출에 주력하고 있음.
- 오성첨단소재의 자회사 카나비스메디칼 지분(지분율: 49.1%) 보유.
- 카나비스메디칼은 의료용 대마 퇴행성 뇌질환 관련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18년부터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의료용 대마를 활용한 연구개발 중.
차트 자세히 보기
아이큐어 (의료용 대마 테마주)
- 경피약물전달시스템에 관한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패취형 의약품 개발 및 제조와 화장품 OEM, ODM 사업을 영위함.
- 경피약물전달시스템 기술을 기반으로 한 도네페질 패취 개량신약 국내 임상 3상에 성공하여 2021년 11월 품목허가 승인을 획득, 2022년 8월 상업화하였음. 경피약물전달시스템 기술력과 ISO9001, ISO14001 인증을 획득한 화장품 공장을 통해 OEM, ODM 사업을 영위함.
- 지분 100% 보유한 자회사(아이큐어비앤피)가 의료용 대마 제품 약물 개발 가능.
- 자회사가 의료용 대마 과제를 국가과제로 수행
차트 자세히 보기
HLB바이오스텝
- 신약 등 신규 개발 물질에 대한 비임상 실험을 진행하는 비임상CRO를 주된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사람의 질병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의약품 개발과정에 있어서 실험동물을 대상으로 물질을 테스트하는 비임상 CRO 사업을 영위함.
- 바이오벤처가 인용의약품으로 개발 중인 후보물질 중 비임상CRO를 통해 동물에 효과가 입증된 물질을 동물용 의약품으로 공동개발하는 방식을 추진함.
- 계열사인 파미노젠이 식약처로부터 ‘헴프(의료용 대마)’ 연구를 위한 원료 물질 취급승인 받음.
차트 자세히 보기
유한양행
- 의약품, 화학약품, 공업약품, 수의약품, 생활용품 등의 제조 및 매매를 주 사업목적으로 하고 있음.
- 동사의 주요 사업부문은 약품사업부문, 생활건강사업부문, 해외사업부문으로 이루어짐. 의약품사업부문의 주요 제품으로는 렉라자, 안티푸라민, 삐콤씨, 듀오웰, 코푸시럽 등이 있고 이외에도 에이즈치료제, C형간염치료제, 항생제 등을 수출사업에서 다루고 있음.
- 미국 대마초 전문기업 KRTL홀딩그룹 자회사와 유한양행 자회사 유한건강생활이 대마초 기반 제품 개발 MOU 체결
차트 자세히 보기
메디콕스
- 라오스 현지 의료용 대마 사업 공동진행을 위해 컬티바 유한회사와 본계약 체결.
- 메디콕스 라오스 현지 의료용 대마 연구·재배 시설의 투자유치 담당, 해당 시설에서 생산된 의료용 칸나비디올(CBD) 오일에 대한 국내 총판권, 해외 지역 건강식품 판권 확보
차트 자세히 보기
비엘팜텍
- 건강식품(건강기능식품, 건강지향식품 등) 및 진단 및 메디컬 사업부문으로 운영되고 있음.
- 이중 건강식품 분야는 OEM/ODM 제조와 홈쇼핑 및 온라인 매체를 통한 유통사업으로 세분화 되어 있으며, 진단 및 메티컬 사업부문은 의약외품의 판매와 수탁서비스를 영위하고 있음.
- 건강기능식품시장 성숙에 따라 기존의 네트워크, 식품대기업, 홈쇼핑 및 계열사를 통한 OEM 방식의 주문 등으로 안정적인 매출기반 확보에 노력 중임.
- nfp 압착 대마종자유 출시 전력 보유. 해당 제품은 미국 FDA 안전원료인증 획득한 원료 사용
차트 자세히 보기
EDGC
- 캐나다 의료분야 전문 기업 SCG와 유전체 분석 기반한 개인 맞춤형 마리화나 치료기술 연구 및 상용 서비스를 위한 MOU(양해각서)를 체결한 바 있음.
차트 자세히 보기
세토피아
- 정보보안솔루션 개발공급 업체.
- 미국 자회사 ‘MIM USA’가 현지 카나비스(마리화나) 생산 전문 기업 ‘멜로즈패실리티매니지먼트'(Melrose Facility Management, MFM)의 지분 100% 확보
차트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