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관련주 TOP16+ | 원자력 대장주, 테마주, 수혜주

Photo of author

By 붉은말 : 부의 혁명

원전 관련주

원전 관련주 이슈 원인

두산에너빌리티가 미국 최대 소형모듈원전(SMR) 설계업체인 뉴스케일파워가 짓는 370억달러(약 50조원) 규모 SMR 건설 프로젝트에 원자로, 증기발생기 튜브 등 주기기를 납품한다는 소식에 원전 관련주들이 시장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원전 관련주 이슈 히스토리

2024.05.27✔️두산에너빌리티, SMR 건설 프로젝트 납품 소식 및 체코 원전 수주 기대감 지속 👉뉴스확인
✅ 주도주 : 에너토크, 우진엔텍, 두산에너빌리
2024.02.22✔️윤석열 대통령이 민생토론회에서 “3조3000억원 규모의 원전 일감과 1조원 규모의 특별금융을 지원하겠다”고 말함. [ 주도주 : 우진엔텍, 대창솔루션 ] 👉관련뉴스
2024.02.02✔️체코 원전 수주전에서 미국이 탈락하고 한국과 프랑스간 2파전으로 수주 가능성 증가 👉관련뉴스
2024.08.28✔️한국수력원자력과 현대건설 등이 미국 SMR(소형모듈원전) 개발사와 협력을 맺었다는 소식 [ 주도주 : 오르비텍 ] 👉관련뉴스
2023.07.11✔️윤석열 정부가 신규 언전 건설을 추진한다는 소식 [ 주도주 : 한전산업 ] 👉관련뉴스

원전 관련주 업종 동향 및 특징

  • 국내 원전 1기당 건설비용은 약 4조2000억원으로 투자 비용이 큰 정부 주도의 인프라 산업.
  • 원자력은 발전소와 관련된 설계, 메인설비(핵증기, 터빈발전기 등), 전기설비(살수, 펌프, 밸브, 계측 부품), 정비, 폐기물처리, 해체·폐쇄의 단계를 거침. 원자력발전소의 설치(설계, 메인설비) – 유지보수(정비, 폐기물처리) – 폐쇄(폐기물처리, 해체) 일정에 따라 관련 업체들이 수혜를 받음.
  • 산업통상자원부는 폴란드 퐁트누프 지역 원전 개발 계획 수립을 위한 양국 기업간 협력의향서와 산업부-폴란드 국유재산부간 양해각서를 체결한 바 있음(2022.10.31).
  • 퐁트누프 원전 프로젝트는 ‘폴란드 에너지정책 2040’에 포함된 정부 주도 원전계획을 보완하기 위한 별도 사업으로, 퐁트누프 지역에 APR1400 기술을 기반으로 2~4기의 원전 건설을 목표. 2026년 착공 예정으로, 한국수력원자력과 폴란드 국영 기업 PGE, 제팍이 함께 추진 중. 전체 수주 금액은 10조~30조원에 달할 전망.
  • 체코 원전 수주전에서 미국이 탈락하고 한국과 프랑스간 2파전으로 재편.
  • 체코 정부의 이같은 결정에 따라 오는 4월15일까지 한수원과 EDF는 새로운 입찰 제안서를 제출. 6월에는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방침.
  • 사업 규모도 당초 원전 1기에서 4기로 늘어나면서 사업비만 30조원에 달해 아랍에미레이트(UAE) 바라카 원전 이후 ‘원전 잭팟’에 대한 기대감.

원전 관련주, 테마주, 대장주

두산에너빌리티 (원전 대장주)

  • 2022년 3월 두산중공업에서 두산에너빌리티로 사명 변경함.
  • 발전설비 및 담수설비, 주단조품, 건설(두산에너빌리티 부문), 건설기계 및 Portable Power 장비(두산밥캣 부문), 연료전지 주기기(두산퓨얼셀 부문)등의 사업을 영위 중.
  • 2023년 11월 무탄소 에너지 개발사업 전문 자회사인 ‘두산지오솔루션’을 설립을 결정함.
  • 원자로 용기 제작이 가능한 단조설비를 가진 세계적인 회사중 하나이며, 국내 첫 원자력발전 해외 수출 1호인 아랍에미리트(UAE) 원자력발전소 주기기 공급사로 참여.
  • 원전 핵심설비 해체 공정 및 시뮬레이션 기술 등을 보유
  • 미국 원전 기업 뉴스케일이 주도하는 SMR 제작 위한 협약 체결
034020

차트 자세히 보기

한전기술 (원전 수혜주)

  • 발전소 및 플랜트 관련 엔지니어링 업체로서 원자력발전소의 설계, 수화력발전소의 설계, 발전설비 O/M, 플랜트 건설사업 및 PM/CM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음.
  • 세계에서 유일하게 원자로 계통 설계와 원전 종합설계를 모두 수행하고 있으며 풍부한 설계 노하우와 고급기술 인력을 보유하고 있음.
  • 미래/성장 동력사업으로서 SMR, 4세대 노형, 핵융합, 원전 해체, ICT 4.0 기반 원전 Digitalization 사업을 개발 중.
052690

차트 자세히 보기

보성파워텍 (원전 테마주)

  • 동사는 국내 전력시장을 중심으로 송배전 자재 및 발전소, 변전소 철골 등 전력산업에 사용되는 전력 기자재 개발 및 제작, 판매를 주된 사업으로 영위함.
  • 주요 영업부문으로는 구조용 금속 판제품 및 공작물을 제조하는 철구조사업부문과 전기회로의 개폐, 보호장치를 제조하는 중전기사업 부문으로 사업을 운영함.
  • 주력 제품으로 가스개폐기, 주상변압기, 송전철탑, 발전소, 변전소용 철구조물 등을 충북 충주, 전남 나주공장에서 직접 생산함.
006910

차트 자세히 보기

일진파워 (원자력 관련주)

  • 발전경상, 원자력, 신성장, 수소에너지사업을 영위
  • 종속회사를 통해 화공기기 제작 / PLANT 설비시공사업을 함께 영위하고 있음.
  • 1998년 설립된 기술연구소는 지식경제부에 등록되어진 연구기관이며, 한국원자력 연구원 등 국내 유수의 연구기관과 공동 프로젝트를 다수 진행하였음.
  • 2022년 10월 한수원 수문 정비공사, 수문 부속설비 정비공사 유자격공급자 지위를 취득함.
094820

차트 자세히 보기

오르비텍 (원자력 테마주)

  • 연구 및 개발을 통한 핵심보유기술을 바탕으로 비파괴기술검사 등의 사업 영위.
  • 영업부문은 원자력사업본부, ISI사업본부, 항공사업본부로 구성되어 있음.
  • 원자력부분 주요사업은 원자력발전소 및 핵연료 가공시설의 건전성 유지를 위한 방사선 관리(방사선 작업종사자의 피복 선량평가, 방사성폐기물 처리 및 처분, 규제해제) 등의 서비스 용역임.
046120

차트 자세히 보기

비에이치아이 (원자력 수혜주)

  • 발전기자재 전문 기업으로 주된 고객으로는 한전을 비롯한 전력회사 및 발전사업자, 대형건설사, 포스코를 포함한 제철회사 등이 있음.
  •  제품 품목으로는 보일러, HRSG, B.O.P 등이 있음.
  • 동사는 Amec Foster Wheeler사와의 기술제휴를 통해 발전소용 보일러(PC, Oil&Gas, CFB) 및 HRSG의 설계능력을 보유하고 있음.
  • 2020년 HRSG 원천기술 인수로 수주 경쟁력을 극대화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국내외 노후 화력발전소 성능개선, 교체시장 및 신규 LNG발전 시장 진출을 기대하고 있음.
083650

차트 자세히 보기

지투파워 (원자력 대장주)

  •  CMD(상태감시진단) 기술을 기반으로 한 수배전반, 태양광발전시스템 등의 제조 및 설치사업을 영위
  •  CMD기술은 IoT(사물인터넷), AI(인공지능), ICT(정보통신)가 적용된 EMS의 일종으로 정부로부터 신기술로 인정받았으며 공공기관에 대한 공급이 매출의 대부분의 차지함.
  • 신ㆍ재생에너지 사업의 주 발전원인 태양광발전소를 설계, 조달, 시공을 일괄로 수행하는 태양광EPC 사업을 영위중임.
  • 원전용 전력설비 필수 인증 보유
388050

차트 자세히 보기

에너토크 (원전 수혜주)

  •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밸브 및 댐퍼 등의 자동개폐장치인 전동 ACTUATOR와 감속기를 개발하여 국내 및 해외에 판매사업 영위.
  • 발전플랜트, 상하수도 시설, 조선소 및 제철소 등에서 물, 오일 및 스팀과 가스 등 밸브를 구동시키는 장비와 감속기의 제조 및 판매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수요처에 직접 납품하거나 밸브회사를 통하여 밸브에 부착되어 납품되고 있음.
019990

차트 자세히 보기

우진 (원자력 관련주)

  • 산업용 계측기의 제조, 판매 등을 주 영업목적으로 설립.
  • 축적된 계측기 관련 기술력을 응용하여 원자력발전소용 계측기를 핵심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이외에 철강산업용 자동화장치, 설비진단시스템, 온도센서, 계측정비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음.
  • 국내외 가동 원전에서 발생하는 교체 및 유지보수를 위한 계측기를 지속적으로 납품하고 있음.
105840

차트 자세히 보기

우진엔텍

  • 원자력 및 화력발전소 계측제어설비 정비 사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세종기업㈜의 원자력사업부를 인수하여 설립됨.
  • 원자력 및 화력발전소의 설비 진단, 성능개선을 포함한 종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정비 서비스와 국산 시스템의 제작 및 공급 사업을 주력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원자력발전소의 해체시장 분야 진출을 준비하고 있으며 2023년 정부 유관기관에서 주관하는 2건의 원전해체 기술개발 국책과제 수행 기업으로 선정됨.
457550

차트 자세히 보기

한신기계

  • 공기압축기(Air Compressor) 전문 제조업체로 원자력 발전소용 공기압축기를 국내 주요 원전에 공급.
  • 원자력발전소 신울진 1,2호기, 고리 3,4호기 Oil Free Compressor 공급.
011700

차트 자세히 보기

서전기전

  • 주요 목적사업은 고ㆍ저압 수배전반 및 자동제어반 제조 및 판매임.
  • 동사가 영위하고 있는 전력변환기기 산업은 중전기기 산업에서 전원용 전력기기 산업에 해당됨.
  • 국내 대기업 및 다국적기업이 주를 이루고 있는 초고압/직류 등 하이엔드(high-end) 전력기기 시장으로의 시장 진입을 목표로 연구개발 하여 가시적인 성과를 이뤄냄.
  • 원자력 발전용 배전반 및 MCC(전동기제어반) 제
189860

차트 자세히 보기

SNT에너지

  • 미국 Foster Wheeler North America Corp(FWNAC)와의 기술도입 계약으로 원자력발전소는 물론 화력발전소와 LNG복합화력발전소 등에서 사용되는 복수기에 대하여 설계 및 제작과 설치에 관한 국내 독점실시권을 취득.
  • 특히, 원자력발전분야는 미국의 FOSTER WHEELER와 협력관계를 바탕으로 한국수력원자력을 상대로 수주활동을 진행.
100840

차트 자세히 보기

수산인더스트리

  • 원자력, 화력, 신재생에너지 등 다양한 발전 플랜트의 설비가동률 고장과 정지를 예방·대처하는 발전 플랜트 종합 정비사업을 영위.
  • 전국 22개의 발전소에 기술인력을 상주 시켜 경상정비, 계획예방정비, 발전설비 유지 관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
126720

차트 자세히 보기

대창솔루션

  • 주강품 및 관련 제품 생산을 영위하고 있으며 사업부문은 주강부문과 초저온산업으로 나뉨.
  • 주강부문에서는 생활안전구조재, 자원채굴설비품, 에너지변환장치품, 수송및산업기기부품소재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초저온산업부문에서는 초저온 밸브/탱크/파이프 등을 생산하고 있음.
  • 과거 선박용 내연기관 구조재와 선박용 주강품에 매출비중이 높았으나, 사업구조의 다양화를 통해 다양한 산업군의 제품을 개발하여 사업영역을 넓혀가고 있음.
  • 원자력발전소내의 주변설비 교체 시 오염된 설비를 장기 보관하는 원전폐기물용 특수강 등 생산.
096350

차트 자세히 보기

한전산업

  • 발전설비 운전·정비 그리고 전기계기의 검침·송달 및 신재생에너지 관련사업 등을 주요사업으로 영위.
  • 석탄취급설비, 환경설비 등 연료환경설비 분야의 운전 및 정비를 담당하고 있으며 국내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2009년부터 인도, 칠레, 태국 등에 기술인력을 파견하여 정비업무를 수행중.
  • 터빈보일러 주설비 정비시장에서도 안정적인 업무수행과 기술력을 인정받아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형성함.
  • 원자력 발전소의 부대설비(BOP), 터빈, Generator(발전기) 등의 시운전 및 정비 사업 영위. 신월성 원자력 발전소, 한빛 원자력 등의 원자력 수처리 설비 운전 및 경상정비공사 역무 수임 이력 보유.
130660

차트 자세히 보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