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제이링크 공모주 분석 (3가지 성장 전망, 위험요소) – 청약 할까 말까?

Photo of author

By 붉은말 : 부의 혁명

와이제이링크 공모주 분석

표면실장기술(SMT) 장비 기업 와이제이링크가 상장을 위한 IPO에 들어갑니다. 와이제이링크의 공모주 청약 정보를 소개하고, 증권신고서와 투자설명서를 바탕으로 와이제이링크 공모주 분석 내용을 공유하겠습니다.

와이제이링크 기업 소개

와이제이링크는 SMT 공정 전반에 걸쳐 적용되는 스마트 장비를 개발, 제조, 생산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와이제이링크는 글로벌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테슬라(Tesla), 스페이스X(SpaceX), ASE를 비롯한 다수의 글로벌 톱티어 기업들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습다.

SMT (Surface Mounted Technology, 표면실장기술) 란?

SMT는 기판의 단면 혹은 양면의 표면 위에 전자부품을 접합하여 전기적으로 도통 되도록 회로를 구성할 때 적용되는 접합 기술입니다. (PCB에 SMT, SMD 부품을 부착하여 PCB Assembly를 제조하는 공정)

와이제이링크 SMT Surface Mounted Technology

와이제이링크 생산 제품

와이제이링크의 주력 제품은 SMT 스마트 공정 장비입니다. 주요 제품군은 크게 PCB 이송장비, PCB추적장비, SMT 후공정장비,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포함한 SMT 전 공정을 지원하는 솔루션을 포함합니다.

와이제이링크 PCB 이송장비
와이제이링크 제품군

와이제이링크 공모주 분석

와이제이링크 공모주 청약 일정

와이제이링크의 공모주 청약은 2024.10.10부터 시작되고, 2024.10.18 상장됩니다.

수요예측일2024.09.25 ~ 10.02
공모청약일2024.10.10 ~ 10.11
환불일2024.10.15
납일일2024.10.15
상장일2024.10.18

와이제이링크 공모 개요

와이제이링크의 공모가는 12,000 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희망 공모가격8,600 원 ~ 9,800 원
희망 공모금액306 억원  ~ 349 억원
확정 공모가격12,000 원
확정 공모금액427억 원
증권회사KB증권
공모주식수3,560,000 모집 100%
전문투자자2,670,000 주75 %
우리사주조합0 주0%
일반청약자890,000 25 %
해외투자자0 주0%

와이제이링크 공모자금 사용 목적

와이제이링크는 채무 상환에 76억원, 시설자금에 2026년까지 총 63억원, 운영자금에 2025년까지 29억원 등이 쓰이고, 멕시코와 인도 등 해외법인 장기 대여금 결제 등의 기타 사용 목적에 184억원이 사용될 예정입니다.

와이제이링크 공모자금 사용 목적
와이제이링크 공모자금 세부 사용 계획

와이제이링크 수요예측 경쟁률

와이제이링크의 기관 단순 경쟁률은 801 : 1로 흥행에 성공하였습니다.

와이제이링크 수요예측 경쟁률

와이제이링크 수요예측 가격 분포

와이제이링크의 수요예측 결과 희망공모가 밴드 상단인 9,800원 이상 비율이 98.87%의 높은 흥행을 기록했습니다.

와이제이링크 수요예측 가격 분포

와이제이링크 의무보유 확약

와이제이링크는 공모주 신청수량 기준 0.4% 만 의무보유 확약을 신청하였습니다.

와이제이링크 의무보유 확약

와이제이링크 공모후 주주 구성

와이제이링크의 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지분율이 48.02%로 대표이사의 경영권이 안정적으로 확보되었다고 판단됩니다.

와이제이링크 공모후 주주 구성

와이제이링크 보호예수 및 와이제이링크 유통 물량

와이제이링크의 보호예수 물량은 74.97%이고,

와이제이링크의 유통가능 물량은 25.03% 입니다.

와이제이링크 보호예수 및 유통 물량

와이제이링크 재무제표

와이제이링크는 2023년 매출액 약 485억원, 영업이익 약 91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최근 5년 매출액과 영업이익 연평균성장률(CAGR)은 각각 8.2%, 29.5%로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와이제이링크 재무제표

와이제이링크 비교기업 선정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는 상기 선정기준을 충족하는 고영, 로체시스템즈, 네오셈, 제너셈 4개 기업을 최종 유사회사로 선정하였습니다.

와이제이링크 비교기업 재무비율 2024 반기
와이제이링크 비교기업 재무비율 2023

와이제이링크 전망

글로벌 첨단산업 성장에 다른 SMT 스마트 공정장비 수요 증가

전방산업의 성장세에 힘입어, 당사가 속한 SMT 장비 산업 역시 일정 수준 이상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각종 전자제품 및 자동차 전장 부품의 시장 규모 확대는 투자의 증대로 이어지며, 이는 곧 SMT 장비 산업의 성장을 의미합니다.

글로벌 SMT 장비 시장은 2022년 52.4억달러의 규모를 보였으며, 2028년까지 CAGR 약 7.7%의 성장을 통해 82.1억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EMS 기업들은 휴대폰, 통신장비, 전자담배, 로봇 등에 들어가는 PCB를 조립하여 납품하는 사업을 영위하는 바, 다양한 전자 산업을 전방산업으로 두고 있습니다. EMS 시장은 2024년 5,805.2억달러의 시장 규모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며, 이후 5년간 CAGR 5.9%의 성장세를 보이며 2029년 7,732.2억달러의 시장 규모를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와이제이링크 EMS 시장규모 및 전망

글로벌 Top-Tier 고객사 확보

와이제이링크는 글로벌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테슬라(Tesla), 스페이스X(SpaceX), ASE를 비롯한 다수의 글로벌 톱티어 기업들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습니다.

특히 테슬라와 협업하는 모든 EMS(Electronics Manufacturing Service, 전자제품 생산 전문기업) 업체에 SMT 라인 공급을 확대 중인데, 현재까지 전장부품 SMT 라인의 20대 장비 중 75%인 15대를 공급했습니다.

스페이스X에는 2010년부터 우주선과 인공위성 관련 장비를 제공 중이며, 세계적인 반도체 패키지 조립·테스트 업체인 ASE에는 반도체 패키징 장비 7대 중 4대를 납품한 이력이 있습니다.

와이제이링크 고객사

SMT Full Line 구축을 통한 매출성장 가속화 및 시장 지배력 강화

와이제이링크는 신규사업으로 SMT Full Line 단위의 장비 공급을 추진 중입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PCB Assembly의 생산과정을 직접 시연할 수 있는 SMT Full Line의 당사 자체 구성을 추진중에 있고 2024년 하반기에 구축 완료될 예정입니다.

당사의 글로벌 고객들은 SMT Line 구성에 있어 다양한 어려움을 겪습니다. 대표적으로 SMT Line 자체 설계, SMT Line 장비 구매를 최소 6번 이상(일반공정장비 및 스마트공정장비) 나누어 진행해야하는 번거로움, 6개월 이상의 라인 테스트, 라인 가동 후 유지보수 문제 발생시 다수의 장비 공급사 및 시스템 구축사와 함께 해결해야 하는 부분 등이 있습니다. 앞서 언급하였듯 당사는 SMT Platform 구현을 통해 이러한 고객의 문제를 일괄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바, SMT Full Line 단위의 장비 공급을 추진 중입니다.

현재 SMT Full Line 관련 전체 솔루션을 제공 중인 기업은 존재하지 않으며, ASYS, Nutek과 같은 글로벌 스마트공정장비 기업도 Full Line 제공이 용이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당사가 2024년 하반기에 추진 중인 Full Line 단위의 장비 판매가 계획대로 진행될 경우, Full Line 최초 공급자로서 상기의 기술적 우위 뿐만 아니라 고객사를 선점하는 효과도 존재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와이제이링크 SMT Full Line 솔루션

와이제이링크 위험요소

높은 수출 비중으로 인한 환율 변동에 따른 수익성 감소 위험

와이제이링크의 주요 매출처는 대부분 글로벌 EMS 기업 및 전장 부품 기업인 바, 매출 중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습니다. 당사의 매출 중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1년부터 2024년 반기까지 각각 88.7%, 93.4%, 88.3% 및 90.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수출 비중은 높게 유지될 것으로 전망되어 환율 변동에 따른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거시 경제 변동성으로 인해 당사의 환위험 관리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외환차손 또는 외화환산손실이 발생하여 당사의 재무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와이제일이크 수출 금액 및 비중

글로벌 생상 인프라 구축에 따른 영업이익률 훼손 가능성

2024년 1분기 기준 와이제이링크의 영업이익률은 5.8%를 기록했는데, 이는 22, 23년의 연간 영업이익률 15.1%, 11.0% 대비 대폭 하락한 수치입니다.

이와 같은 실적 부진은 IT 세트 수요 회복 지연에 맞물린 부품사의 투자 결정 지연으로 인한 매출액 감소와 이에 따른 고정비 부담 증가에서 기인합니다. SMT 풀라인 공급 및 멕시코법인 생산공장 건설을 위한 선투자 비용이 반영되고 있기 때문인데, 이와 같은 상황에서 멕시코 생산법인은 24년 2분기, 인도 생산법인은 24년 2분기 착공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와이제이링크가 사업의 본격 성장 시점으로 목표하고 있는 시기는 2026년인데, 25년 멕시코 공장 가동이 시작되고, 더욱이 27년부터는 인도 공장 상각비까지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수주 증가세 및 이에 따른 매출액 증가를 가정하더라도 일정 수준의 이익률 훼손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와이제이링크 글로벌 생산 인프라 구축

와이제이링크 신주인수권의 행사에 따른 주가 희석 위험

대표주관회사가 금번 공모시 취득하는 신주인수권의 행사가능주식수는 공모주식 수량의 2.0%인 71,200주로, 행사가격은 확정공모가액이며, 상장일로부터 3개월 이후 18개월 이내에 행사 가능합니다.

대표주관회사가 취득하는 주식이 시장에 추가로 출회될 경우 희석화 요인으로 작용하여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와이제이링크 신주인수권

와이제이링크 공모주 청약 할까 말까? (내용 정리)

  • 표면실장기술(SMT) 장비 기업
  • 기관 단순 경쟁률은 기관 단순 경쟁률은 801 : 1로 흥행에 성공
  • 희망공모가 밴드 상단인 9,800원 이상 비율이 98% 로 12,000 원 공모가 확정
  • 유통가능 물량은 25.03%
  • 테슬라, 스페이스X 등의 글로벌 Top-Tier 고객사 확보
  • 글로벌 생상 인프라 구축에 따른 영업이익률 훼손 가능성

개인 의견 :  청약 참여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