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코크로스 공모주 분석 (3가지 성장 전망, 위험요소) – 청약 할까 말까?

Photo of author

By 붉은말 : 부의 혁명

온코크로스 공모주 분석

AI기반 신약개발 플랫폼 기업인 온코크로스가 상장을 위한 IPO에 들어갑니다. 온코크로스의 공모주 청약 정보를 소개하고, 증권신고서와 투자설명서를 바탕으로 온코크로스 공모주 분석 내용을 공유하겠습니다.

온코크로스 기업 소개

온코크로스는 내 최초로 약물 투여 또는 질병 발생에 따른 유전자 발현 데이터(전사체, Transcriptome) 변화를 AI로 분석하여 최적의 질병과 치료제를 매칭하여 주는 RAPTOR AI를 개발, 운용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약물의 최적 적응증 또는 병용 약물을 스크리닝하고, 질병에서의 유망한 치료 약물 및 타겟을 탐색하는 것을 당사의 주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제약사들의 신약 개발에 RAPTOR AI를 활용함으로써, 임상시험을 목적에 둔 약제나 임상시험을 진행 중인 약제에 대하여 원개발 적응증과는 차별화된 적응증을 도출하여 약물의 가치를 극대화시키며, 이미 특허가 만료된 약제의 경우 최적의 병용 약제를 발굴하고 후속 특허를 등록시킴으로써 특허로 보호받는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습니다. 

온코크로스 생산 제품

온코크로스 AI 플랫폼을 기반으로 파트너 제약회사가 보유, 개발하고 있는 신약 후보물질의 개발 과정에서 최적 적응증 선정(Indication selection) 또는 적응증 확장(Indication expansion)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수익을 창출하는 AI 플랫폼 기반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적응증 확장(Indication Expansion)

적응증 확장은 물질특허가 유효한 신약 후보물질의 신규 적응증을 임상 단계에서 발굴하는 것입니다. 심장병 치료제로 승인받고 발기부전 치료제로 적응증을 변경한 ‘비아그라’와 지난 6월 40번째 적응증을 확장한 면역관문억제제 ‘키트루다’가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RAPTOR AI

RAPTOR AI™는 전사체 기반의 질병 및 약물 탐색 AI 플랫폼으로서, 약물과 질병이 미치는 영향의 반대칭성(상보성)을 전사체 수준에서 예측하기 위해 당사가 개발한 ReDRUG(Restoration using DRug fot targeting Unbalanced Genes) 알고리즘을 이용한 플랫폼입니다.

당사는 다양한 약물과 질병의 조합을 분석할 수 있도록 700여종의 질병 코호트 데이터와 25,000여종의 화합물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정제 및 추가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온코크로스 RAPTOR AI

온코크로스 공모주 분석

온코크로스 공모주 청약 일정

온코크로스의 공모주 청약은 2024.12.09부터 시작되고, 2024.12.18 상장됩니다.

수요예측일2024.11.27 ~ 12.03
공모청약일2024.12.09 ~ 12.10
환불일2024.12.12
납일일2024.12.12
상장일2024.12.18

온코크로스 공모 개요

온코크로스의 공모가는 7,30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희망 공모가격10,100 원 ~ 12,300 원
희망 공모금액144억원  ~ 175억원
확정 공모가격7,300 원
확정 공모금액104 억 원
증권회사미래에셋증권
공모주식수1,423,000 모집 100%
전문투자자1,067,250 주75 %
우리사주조합0 주0 %
일반청약자355,750 25 %
해외투자자0 주0 %

온코크로스 공모자금 사용 목적

온코크로스는 공모자금중 발행제비용을 제외한 9,954백만원을 플랫폼 사업 확장을 위한 연구개발 자금으로 5,309백만원, 자체 NGS(시퀀싱) 역량 확보를 위한 시설자금으로 700백만원, 인건비 및 기타 운영자금으로 3,945백만원을 사용할 예정입니다.

온코크로스 공모자금 사용 목적
온코크로스 공모자금 세부 사용 계획

온코크로스 수요예측 경쟁률

온코크로스의 기관 단순 경쟁률은 635 : 1로 흥행에 성공하였습니다.

온코크로스 수요예측 경쟁률

온코크로스 수요예측 가격 분포

온코크로스의 수요예측 결과 희망공모가 밴드 상단인 10,100원 이하 비율이 97.85%의 저조한 성적을 기록했습니다.

온코크로스 수요예측 가격 분포

온코크로스 의무보유 확약

온코크로스는 공모주 신청수량 기준 1.5%가 의무보유 확약을 신청하습니다.

온코크로스 의무보유 확약

온코크로스 공모후 주주 구성

온코크로스의 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지분율이 17.62%로 대표이사의 경영권이 불안정다고 판단됩니다.

하지만, 공모 이후 공동목적보유확약자들의 대상 지분을 합산한 지분율 합계는 53.77% 수준이며, 이외에도 동사가 임직원을 대상으로 부여하여 미행사된 주식매수선택권 739,020주 및 주관사에게 부여한 신주인수권 70,000주를 합할 경우, 공모 후 최대주주의 우호지분율은 50.34% 까지 확보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동사의 최대주주는 상장 후 충분한 경영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온코크로스 공모후 주주 구성

온코크로스 보호예수 및 온코크로스 유통 물량

온코크로스의 보호예수 물량은 70.42%이고,

온코크로스의 유통가능 물량은 29.58% 입니다. (온코크로스의 구주매출 물량은 17.58% )

온코크로스 보호예수 및 유통 물량

온코크로스 재무제표

온코크로스의 영업이익은 2020년 약 (-)35억원, 2021년 약 (-)66억원, 2022년 약 (-)74억원, 2023년 (-)66억원, 2024년 3분기 (-)46억원으로 지속적인 영업손실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온코크로스 재무제표

온코크로스 비교기업 선정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는 동사의 업종, 사업, 재무 및 일반 유사성을 고려하여 드림씨아이에스, 씨엔알리서치 등 총 2개사를 동사의 공모가격 산정을 위한 비교기업으로 선정하였습니다.

온코크로스 비교기업 재무 현황 2024
온코크로스 비교기업 재무 현황 2023

온코크로스 전망

효율성 증대를 위해 신약개발 시 AI 도입 필수

시장조사 전문기관 MARKETSANDMARKETS사의 조사에 2022년 조사에 따르면, AI 신약개발의 세계 시장 규모는 2021년 4억1,320만 달러로 추계되었고, 2022년 6억980만 달러에서 매년 연평균성장률(CAGR) 45.7%로 성장해 2027년에는 약 40억 달러 규모로 전망됩니다.

이러한 시장 니즈에 대응하여, 해외 주요 제약기업들은 신약개발에 AI를 활용하기 위해 독자적인 연구시설을 설립하거나 AI 기업들과의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협업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온코크로스 AI 신약개발 성장성

국내외 다양한 기관들과의 협업으로 입증된 RAPTOR AI 레퍼런스

온코크로스는 AI 신약개발 플랫폼인 랩터 AI를 기반으로 국내외 제약사 및 대형 병원들과 협업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대웅제약, 동화약품, 보령, JW중외제약 등 대형 제약회사들과 협업 중이며, 4P파마(4P-Pharma), 알파몰 사이언스(AlphaMol Science) 등 해외 제약회사들과도 공동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온코크로스 RAPTOR AI 레퍼런스

원발부위 불명암 진단을 포함한 암 조기 진단을 위한 AI 플랫폼 개발

원발부위 불명암은 전이된 암이 발견되었으나 해당 암의 근원지인 원발부위를 모르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암의 원발부위는 일반적으로 조직학적 검사와 영상진단을 기반으로 이루어집니다. 그러나 조직학적 검사를 통한 암의 세포 특징 분석과 CT나 MRI 촬영을 통한 영상진단에서 원발 부위를 찾지 못하는 경우가 존재하며 이러한 전이성 종양을 원발부위 불명암으로 분류합니다.

ONCOfind AI는 원발부위 불명암(Cancer of unknown primary; 이하 CUP)의 원발부위를 정확히 예측함으로써, 과거에 원발부위 불명암으로 분류되어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했던 환자들에게 암종에 따른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진단 플랫폼입니다.

온코크로스 원발부위 불명암 진단 AI 플랫폼 개발

온코크로스 위험요소

기술도입계약(License-In)에 의한 수익 배분에 따른 수익성 감소 위험

당사가 개발하고 있는 신약후보물질 가운데 하나인 OJP3101은 제일약품으로부터 신규 용도에 대한 특허 실시권 허여 계약을 통해 도입하였습니다.

당사는 기술도입한 상대방으로부터 각 기술 도입 시에 계약금을 포함한 개발 단계 진행에 따른 마일스톤에 기반한 기술료 지급을 포함하는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기술도입한 계약 물질을 제3자에게 기술이전하거나 상용화를 통한 수익 발생 시, 수익의 일부를 계약 상대방에게 지급할 의무가 있습니다.

동 지급액은 매출원가로 계상됨에 따라 당사 영업이익과 순이익의 차감요인으로 작용하며, 이에 따라 당사의 수익성 및 성장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투자자분들께서는 이 점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온코크로스 기술도입 계약

연구개발비용 증가에 따른 재무 안정성 악화 위험

. 당사는 타 제약회사와 공동으로 연구개발하므로, 일반적인 신약 개발 바이오 회사와 비교하여 연구개발비 등이 적게 소요되는 편입니다. 그러나 업종 특성상 당사는 연구개발을 주업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설립 초기부터 여러 차례 증자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여 연구개발비 등으로 충당하였습니다.

이에 당사는 인건비 및 연구개발비 등의 비용 지출에 따른 적자가 누적되어 누적 결손금은 연결기준 2022년 385억원, 2023년 427억원, 2024년 3분기 469억원입니다.

현재까지도 당사의 AI 플랫폼은 많은 제약회사들과 협업 및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검증을 하고 있는 단계이기 때문에 AI 플랫폼을 활용한 당사의 사업모델은 본격적으로 수익이 발생하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AI 플랫폼은 지속적으로 고도화를 위해 많은 연구개발비용이 소요될 가능성이 높으며, 타 제약회사와의 공동연구개발 또한 진척 과정에서 많은 비용이 지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온코크로스 연구개발비용

온코크로스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에 따른 주가 희석 위험

사는 설립 이후 당사의 설립 ,경영과 기술혁신 등에 기여할 수 있는 임직원 등에게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였으며,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미행사 주식매수선택권은 739,020주로 공모 후 발행주식총수의 6.23% 수준입니다. 향후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신주가 발행되어 시장에 출회될 경우 당사의 상장 후 주가에 희석화 요인으로 작용하여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온코크로스 주식매수선택권

온코크로스 공모주 청약 할까 말까? (내용 정리)

  • AI기반 신약개발 플랫폼 기업
  • 기관 단순 경쟁률은 기관 단순 경쟁률은 635 : 1로 흥행에 성공
  • 희망공모가 밴드 상단인 10,100원 이상 비율이 97.85% 로 7,300원 공모가 확정
  • 유통가능 물량은 29.58% (구주매출 물량은 17.58% )

개인 의견 :  최소 균등 물량으로만 청약 참여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