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용 AIoT(인공지능 사물인터넷) 플랫폼 기업 심플랫폼가 상장을 위한 IPO에 들어갑니다. 심플랫폼의 공모주 청약 정보를 소개하고, 증권신고서와 투자설명서를 바탕으로 심플랫폼 공모주 분석 내용을 공유하겠습니다.
심플랫폼 기업 소개
심플랫폼은 ‘장비 연계를 통하여 데이터의 수집과 산업용 AI의 결합을 통해 사람과 사물이 소통하는 시대 선도’ 를 기업 이념으로 데이터 수집 및 저장, 데이터 분석 및 예측,현장적용 및 검증을 통합할 수 있는 산업용 AIoT 플랫폼 기술을 개발하고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산업용 데이터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하는 기업입니다.
AIoT란? (AI : 인공지능 + IoT : 사물인터넷)
AI(인공지능) + IoT의 합성어로써 지능형 사물인터넷 기술 및 서비스
심플랫폼 생산 제품
심플랫폼은 산업용 AIoT의 효과적이면서 효율적인 구현을 위해 산업용 AIoT 플랫폼이라는 새로운 유형의 지능형 제품을 고객에게 제공함으로써 매출을 증대하고자 합니다. 타겟 산업(제조, 공공, 헬스케어, 농업, 소매) 전반에 산업용 AIoT 플랫폼을 통한 디지털전환의 혁신으로 비용 절감 및 부가가치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제조분야에서는 AIoT 플랫폼을 통한 제품의 품질과 생산성 향상, 시설과 설비에 대한 예지보전 및 AI 자율 제조를 지향함으로써 고객의 가치 창출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NUBISON AIoT
당사 제품 “NUBISON AIoT”은 IoT 기술을 통해 수집된 장비, 설비, 센서 등의 데이터를 AI기반 분석을 통하여 이상 탐지 및 예지 보전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 제품은 산업현장 등에서 Thing Driver를 통해 간편하게 데이터 수집하여 AI기반의 데이터 분석을 통한 현장 운영 관리의 효율성과 제품 수율 제고 시켜 줍니다.
심플랫폼 공모주 분석
심플랫폼 공모주 청약 일정
심플랫폼의 공모주 청약은 2025.03.11부터 시작되고, 2025.03.14 상장됩니다.
수요예측일 | 2025.02.27 ~ 03.06 |
공모청약일 | 2025.03.11 ~ 03.12 |
환불일 | 2025.03.14 |
납일일 | 2025.03.14 |
상장일 | 2025.03.21 |
심플랫폼 공모 개요
심플랫폼의 공모가는 15,00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희망 공모가격 | 13,000 원 ~ 15,000 원 |
희망 공모금액 | 120억원 ~ 138억원 |
확정 공모가격 | 15,000 원 |
확정 공모금액 | 138 억 원 |
증권회사 | KB증권 |
공모주식수 | 920,000 주 | 모집 100% |
전문투자자 | 690,000 주 | 75 % |
우리사주조합 | 0 주 | 0% |
일반청약자 | 230,000 주 | 25 % |
해외투자자 | 0 주 | 0% |
심플랫폼 공모자금 사용 목적
심플랫폼은 금번 상장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모자금을 운영자금, 채무상환자금, 타법인증권취득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심플랫폼 수요예측 경쟁률
심플랫폼의 기관 단순 경쟁률은 1213 : 1로 흥행에 성공하였습니다.
심플랫폼 수요예측 가격 분포
심플랫폼의 수요예측 결과 희망공모가 밴드 상단인 15,000원 이상 비율이 97.4%의 높은 흥행을 기록했습니다.
심플랫폼 의무보유 확약
심플랫폼은 공모주 신청수량 기준 0.3%가 의무보유 확약을 신청하였습니다.
심플랫폼 공모후 주주 구성
심플랫수 입니다.
의무보유 기간 종료 후 최대주주등 및 특수관계인 지분을 대량 매각하거나 경영권을 주도하고 있는 최대주주 및 경영진과 관련하여 경영권 변동 또는 기업지배구조 및 경영권 분쟁, 도덕적 해이 발생 등으로 당사의 경영환경이 악화될 경우 경영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습니다.
심플랫폼 보호예수 및 심플랫폼 유통 물량
심플랫폼의 보호예수 물량은 62.89%이고,
심플랫폼의 유통가능 물량은 37.11% 입니다. (심플랫폼의 구주매출 물량은 21.69% )
심플랫폼 재무제표
심플랫폼 비교기업 선정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는 ㈜심플랫폼의 업종, 재무, 사업 및 일반 유사성을 고려하여 엠아이큐브솔루션, 모코엠시스, 엑셈 총 3개사를 동사의 공모가격 산정을 위한 유사기업으로 최종 선정하였습니다.
심플랫폼 전망
다양한 산업에서 AIoT 필요성 대두
당사의 목표시장은 산업용 AIoT 시장입니다. 산업용 AIoT 시장은 기존의 AI(인공지능) 및 IoT(사물인터넷) 기술의 통합으로 산업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이 확대되고 AIoT 도입으로 인한 운영 효율성 증대 등의 기대효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Global Market Insight의 경우 2023년 AIoT 시장 규모는 108억 달러로 산정하였으며 2032년 756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연평균 성장률은 약 24.6%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였습니다.
심플랫폼은 반도체, 헬스케어, 기타 제조업, 공공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의 현장 적용 경험을 바탕으로 주요 산업/적용 분야에 대한 13가지 Pre-Package AI 모델(분류 3종, 회귀 4종, 객체탐지 1종, 이상탐지 2종, 지표측정 3종)을 구축하여 솔루션 개발기간을 단축 및 고객 만족도 증대를 꾀하고 있습니다.
All in one 서비스 제공을 통한 수익성 극대화
당사가 제공하는 솔루션은 산업용 AIoT 분야에서 데이터 수집 및 관리 전영역에 대한 One Stop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사용 편의성이 높고 고객이 보유하고 있는 장비 및 산업용 데이터 기반 최적화가 가능하기에 해당 제품 경쟁력을 기반으로 향후 다양한 산업군에 신규 고객들을 확보함으로써 매출 성장세를 지속해나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의 Nubison AIoT 제품은 공정도에서 설명한 대로 완성된 제품으로 고객에게 연계/수집, 분석/예측, 적용/검증, 관리/운영 서비스 모두 제공 가능합니다. 또한, 고객의 상황과 니즈에 맞는 단위 별 솔루션 서비스도 별도로 제공가능한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전지 등 높은 레퍼런스 보유
심플랫폼의 매출은 산업용 AIoT 플랫폼인 Nubison AIoT 단일 제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당사의 타겟 산업(반도체, 일반 제조, 공공, 헬스케어, 농업) 중에서도 반도체 및 일반 제조의 비중이 50% 달하며, 다양한 고객사의 레퍼런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심플랫폼 위험요소
3년 연속 영업 손실 및 자본잠식에 따른 위험
심플랫폼 최근 3개 사업연도 기준 영업손실을 지속적으로 시현하고 있습니다. 또한 내ㆍ외부 경영 환경의 변화, 전방산업의 침체, 수요처의 도입 시기 지연 등의 요인으로 인해 당사의 성장성 및 수익성은 악화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2024년 3분기 기준 136.81%의 자본잠식률을 나타내고 있으나, 2024년 온기 가결산 기준 자본잠식률은 8.71%, 공모를 통한 추가 자본 확충 시 자본잠식률은 -378.75%로 예상되며, 향후 사업 계획에 따른 영업 성과 실현 시 자본잠식률의 개선 여력이 추가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사업계획에 근거한 추정 손익 미달의 위험
금번 기업가치 산정에 적용된 당사의 매출 추정은 2024년의 경우 당사가 매출확정된 계약건으로 추정하였고, 2025~2026년 매출의 경우 당사의 예상 매출액에 수주 확률 기준을 적용하여 매출액 및 영업실적을 추정하였습니다.
앞에서 설명했든 3년 연속 영업손실의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미래 추정 이익을 통해 주가의 벨류에이션을 산정했기 때문에 개발중인 신규 솔루션 및 서비스의 개발 완료 시점이 지연되거나 관련 솔루션 및 서비스가 최종적으로 고객사에 의한 도입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당사가 추정한 실적과 실제 실적 간 괴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플랫폼 주식매수선택권 행상에 따른 지분 희석의 위험
현재 미행사 주식매수선택권은 511,996주입니다. 이는 공모 후 발행주식총수(6,135,447주)의 8.34%에 해당합니다. 향후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신주가 발행되어 시장에 출회될 경우 당사의 상장 후 주가에 희석화 요인으로 작용하여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심플랫폼 공모주 청약 할까 말까? (내용 정리)
- 산업용 AIoT(인공지능 사물인터넷) 플랫폼 기업
- 기관 단순 경쟁률은 기관 단순 경쟁률은 1213 : 1로 흥행에 성공
- 희망공모가 밴드 상단인 15,000원 이상 비율이 97.4% 로 15,000 원 공모가 확정
- 유통가능 물량은 37.11% (구주매출 물량은 21.69% )
개인 의견 : 청약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