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법개정 수혜주 TOP10+ | 대장주, 관련주, 테마주

Photo of author

By 붉은말 : 부의 혁명

상법개정-수혜주

상법개정 수혜주 이슈 원인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28일 공개된 정책 공약집에서 “주주에 대한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해 주주 전체의 이익이 고려될 수 있도록 원칙을 제시하겠다”며 상법 개정 재추진을 공식화 선언하며 상법개정 수혜주들이 시장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상법개정 수혜주 이슈 히스토리

2025.
05.28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 상법개정 재추진 공식화 선언
👉뉴스확인
✅ 주도주 : 코오롱
2025.
04.10
✔️ 자사주 제도 개선안 시행에 따른 기업가치 제고 기대감
👉뉴스확인
✅ 주도주 : 두산, LS

상법개정 수혜주 특징

  • 지주회사 : 상법 개정으로 지배 구조가 투명해지면서 지주회사의 가치가 상승
  • 금융주 : 상법 개정으로 규제 리스크가 완화될 수 있으며, 금융권의 상생금융 방안에 대한 부담 감소
  • 주주제안권 행사 기업 : 상법 개정으로 소액주주의 주주제안권 행사가 용이해짐에 따라 주주제안을 통해 경영 참여가 강화될 수 있는 기업이 수혜
  • 경영권 분쟁 기업 : 상법 개정으로 경영권 분쟁이 발생할 경우 소액주주 권익 보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경영권 분쟁에 대한 부담

1. 지주회사 및 금융지주

  • 하림지주, 롯데지주, GS지주, SK(주), SK스퀘어, LG(주), 신한지주, KB금융 등
  • 지주회사는 이사의 충실의무가 회사뿐 아니라 주주에게도 확대되면서 ‘더블 카운팅’이나 ‘터널링’ 같은 지배구조 관련 논란이 해소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자사주 소각 및 적극적인 배당 정책 추진을 통해 기업가치가 재평가될 수 있습니다.

2. 저PBR (주가순자산비율) 주 및 가치주

  • 현대차, LG전자, 이마트 및 금융주(보험/증권) 등
  • 이사의 주주 충실의무 확대는 기업이 주주 친화적인 정책(자사주 매입, 배당 확대 등)을 펼치도록 유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자산 가치에 비해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는 기업들이 기업가치 제고를 통해 수혜를 볼 수 있습니다.

3. 우선주

  • 신한금융지주 우선주, KB금융지주 우선주 등
  • 보통주 대비 할인된 가격으로 거래되는 우선주들이 상법 개정으로 인한 주주권 강화와 배당 확대 기대감으로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을 수 있습니다.

4. 규제 민감주

  • 금융, 유틸리티, 통신 산업 기업
  • 상법 개정으로 규제 리스크가 경감될 가능성이 있어, 이들 전통적인 규제 산업 기업들이 수혜를 받을 수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5. 전자투표 관련주

  • 더존비즈온, 삼성SDS, NHN 등
  • 전자 주주총회 의무화가 추진될 경우 관련 시스템 개발 및 운영을 하는 IT 기업들이 수혜를 받을 수 있습니다.

6. 행동주의 펀드 관심 기업

  • KT&G, 네이버, 카카오 등
  • 주주권이 강화되면서 행동주의 펀드의 주주환원 압박이 더욱 거세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사주 매입/소각, 배당 확대 등을 통해 주주가치를 높일 가능성이 있는 기업들이 주목받을 수 있습니다.

7. 지배구조 관련 논란이 많거나 경영권 분쟁을 겪는 기업

  • LS, 두산, HD현대 등
  • 상법 개정안이 통과되면 이사의 주주에 대한 충실의무 이행을 위해 지배구조 이슈를 완화하거나 해소하는 노력을 더욱 기울여야 하므로 이러한 기업들이 수혜를 받을 수 있습니다.

8. 해외로부터의 대규모 수주에 주로 의존하는 기업

  • 두산에너빌리티 등
  • 엄수진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해외 시장을 중심으로 사업을 수행하여 국내 규제 강화 영향이 제한적인 기업들이 상법 개정의 수혜를 입을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민주당 상법 개정 대선공약

  • 민주당은 ‘공정경제’ 공약으로 “일정 규모 이상 회사에서 경영진으로부터 독립돼 견제 목소리를 제대로 낼 수 있는 독립이사를 일정 비율 이상 선임하도록 의무화하겠다”고 선언
  • 대규모 상장회사에 대해 대규모 상장회사 감사위원 분리선출을 단계적으로 확대
  • 대규모 상장회사 전자투표∙위임장 의무화 및 권고적 주주제안 도입을 유도
  • 정관으로 집중투표제 도입을 배제할 수 없도록 관련 규정을 개정해 대규모 상장회사 집중투표제를 활성화
  • 소수의 지분으로 과도하게 지배력을 확대하는 경제력 집중 우려를 해소

상법개정 수혜주, 테마주, 대장주

코오롱 (상법개정 대장주)

  • 국내 최초 나일론 섬유 생산기업으로 설립되어 2009년 인적분할을 통해 지주회사로 전환됨.
  • 지주회사로서 자회사의 제반 사업내용을 지배/경영지도하는 지주사업과 코오롱 브랜드 상표권 라이센스, 부동산 임대업, 시장조사 및 경영자문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지배구조의 투명성 제고와 경영 효율성 강화를 통해 기업가치와 주주가치를 제고하는데 주력하고 있음.
002020

🔎차트 자세히 보기

SK (상법개정 대장주)

  • 2015년 8월 (구)SK를 흡수합병하고 사명을 SK C&C에서 SK로 변경함.
  • 지속적인 사업 포트폴리오 혁신과 미래 성장동력을 발굴 및 육성하는’투자부문’과 Digital 기술을 기반으로 종합 IT 서비스 사업 등을 영위하는 ‘사업부문’으로 구분되어 있음.
  • 2021년 12월 SK머티리얼즈주식회사 합병 이후, 그룹의 핵심 사업인 반도체와 배터리 분야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공고히 하기 위한 첨단소재, 기술 투자를 본격화하고 있음.
  • 자사주 보유 비율이 25% 이상. PBR 0.5배 수준으로 저평가.
  • 자사주 활용 확대와 배당정책 개선 시 주가 재평가
034730

🔎차트 자세히 보기

LS (상법개정 테마주)

  • 지주회사임. 동사는 전선, 일렉트릭, 엠트론, 아이앤디, 엠앤엠 등 사업부문을 영위하며, 주요 수입원은 자회사들로부터 받는 배당금과 브랜드 수수료 수입임.
  • LS상표권의 소유주로서 브랜드 가치제고 및 육성, 보호 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상표권 사용료는 사용회사의 매출액 기준으로 산정하고 있음.
  • LS그룹은 LS전선이 미국에 본사를 둔 자회사 에식스솔루션즈(Essex Solutions)의 IPO를 추진하면서 중복상장 논란
006260

🔎차트 자세히 보기

두산 (상법개정 관련주)

  • 자사주 비율이 18.16% / PBR 0.4~0.6배
  • 중복상장 : 두산밥캣, 두산로보틱스의 합병 추진 및 철회 과정에서 소액 주주 피해 우려가 제기
000150

🔎차트 자세히 보기

한화 (상법개정 수혜주)

  • 한화그룹의 지주회사 역할을 하고 있으며 한화생명,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케미칼 등 계열사 지분 보유
  • 자체사업은 화약/방산/기계/무역 부문이 있음.
  • 화약부문은 발파기술사업, 발파해체사업, 불꽃프로모션사업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대, 방산부문은 정밀유도무기를 포함한 정밀타격 전 분야로 사업영역을 확대.
  • 기계부문은 주요 산업별 핵심설비 개발 및 프로젝트 수행능력을 확보, 무역부문은 자체 영업권과 전문성을 보유한 사업의 확대.
  • PBR 0.5배로 저평가
  • 2024년 부터 배당 성향 상향
000880

🔎차트 자세히 보기

KB금융

  • 2008년 8개 계열사의 주식이전으로 설립, 11개 주요 계열사가 영업활동 중임.
  • 은행부문은 개인·기업을 대상으로 여수신 업무, WM, CIB 등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며, 비은행부문은 증권, 보험 등 종합금융서비스 제공 중임.
  • 디지털 플랫폼 경쟁력 강화와 비대면 채널 운영체계 구축에 주력, 스타뱅킹 MAU 약 1,300만명, 인증서 가입자 약 1,500만명 확보, 비금융사업 확대로 고객 효익 증가함.
  • PBR 0.6배 / 배당 4%대
105560

🔎차트 자세히 보기

신한지주

  • 2001년 9월 신한은행, 신한증권, 신한캐피탈, 신한비엔피파리바자산운용의 주주로부터 주식이전 방식으로 설립된 금융지주회사임.
  • 은행, 신용카드, 금융투자, 생명보험, 손해보험, 여신전문금융, 자산운용 등 다양한 금융 사업을 영위하는 자회사를 보유하고 있음.
  • 고객중심 一流신한을 장기적 지향점으로 삼고 Scandal Zero, 고객 편의성 제고, 지속가능한 수익 창출 등 3대 一流 아젠다를 추진하고 있음.
  • 2024~2025년 중간배당 실시.
  • 자사주 매입 이슈
055550

🔎차트 자세히 보기

LG

  • LG CNS: 지주사인 LG와의 중복상장 논란
003550

🔎차트 자세히 보기

HD현대

  • HD현대그룹은 HD한국조선해양과 HD현대사이트솔루션을 각각 조선과 건설기계 부문의 중간 지주사로 두는 ‘옥상옥(지붕 위에 지붕)’ 구조를 가지고 있어, 지분 가치가 ‘트리플 카운팅’된다는 지적
  • HD현대마린솔루션 중복상장. HD현대마린솔루션의 IPO 흥행에도 불구하고, 모회사인 HD현대의 주가는 하락
  • 2020년 HD현대로부터 물적분할된 HD현대로보틱스도 상장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
267250

🔎차트 자세히 보기

더존비즈온

  • ERP, 클라우드, 플랫폼, 전자금융, 모바일, 보안, 그룹웨어 서비스를 제공함.
  • 2011년 강촌캠퍼스로 본사를 이전하며 D-클라우드 센터를 구축하였음. AI 기업으로의 진화를 목표로 AI 전환 시대를 선도하며, 혁신적 AI 서비스 사업모델로 기업 성장 지원과 산업 발전 생태계를 구축 중.
  • 상법 개정안에서는 일정 규모 이상의 상장기업에게 전자주주총회 개최 의무화를 포함
  • 최근에는 전자투표 및 주총 지원 시스템 구축 수요에도 대응
012510

🔎차트 자세히 보기

❓ 상법개정 수혜주 궁금한점 물어보세요

상법개정 수혜주에는 어떤 종목이 있나요?

상법개정 수혜주에는 코오롱, SK, LS, 두산, 한화, KB금융, 신한지주, LG, HD현대, 더존비즈온 등이 있습니다.

상법개정 수혜주 중에서 대장주는 무엇인가요?

코오롱, SK 등이 상법개정 대장주로 크게 움직인 이력이 있습니다.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하셨나요?

평점을 매겨주세요!

평균평점 5 / 5. 투표수 : 477

가장 먼저, 게시물을 평가해보세요

댓글 남기기

error: 우클릭이 불가능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