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봇핏 관련주 이슈 원인
삼성전자의 첫 소비자용(B2B) 로봇 ‘봇핏’이 정식 출시를 앞둔 가운데 삼성 봇핏 관련주들이 시장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삼성 봇핏 관련주 이슈 히스토리
2024.09.12 | ✔️ 삼성 웨어러블 로봇인 ‘봇핏’의 매뉴얼과 스펙 등이 삼성닷컴 홈페이지에 등록되었다가 삭제되며, 삼성 봇핏 출시 기대감 지속 ✅ 주도주 : 엔젤로보틱스, 에브리봇 |
2024.09.02 | ✔️ 9월 삼성 봇핏 출시 기대감 지속 👉뉴스확인 ✅ 주도주 : 에스비비테크, 에스피지 |
2024.05.14 | ✔️ 삼성이 보행 보조 로봇 ‘봇핏’을 올 3분기 출시 및 휴머노이드 로봇은 SAIT를 통해 개발 계획 발표 👉뉴스확인 |
2024.01.16 | ✔️ 삼성전자가 미래 먹거리로 ‘로봇’을 낙점한 가운데 웨어러블 로봇 ‘봇핏’의 시제품 양산 기대감 👉 뉴스확인 |
삼성 봇핏 관련주 업종 동향 및 특징
- CES 2024에서 삼성전자 부회장이 삼성의 웨어러블 로봇 ‘봇핏’이 이미 실버타운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앞으로 직접 소비자들에게 판매되어 피트니스나, 필라테스에도 활용될 것이라고 언급함.
-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은 CES 2024에서 ‘봇핏’ 출시 시기와 관련해 “지금은 실버타운, 피트니스 등 사업자 간(B2B) 시장을 먼저 공략하고 있고 조금 더 다듬어 조만간 B2C(소비자 판매)도 할 것
- 봇핏은 거동이 불편한 노년층 등을 위한 보조기구로 개발돼 ‘부스터’와 ‘아쿠아’ 등 크게 2개 모드를 중심으로 가동. 부스터 모드는 보행이 어려운 사용자를 위해 걸을 때 뒤에서 힘을 받쳐주는 기능. 아쿠아 모드는 물속에서 걷는 것 같은 효과를 선사하며 근육량이 부족한 노년층의 운동에 활용.
- 봇핏은 삼성의 스마트폰과 워치, 이어버드와 연동이 가능. 스마트폰과 워치를 통해서는 웨어러블을 자유롭게 제어하고 다양한 기능을 설정 가능.
- 2023년이 협동로봇과 물류로봇의 해였다면 2024년은 삼성 봇핏을 필두로 웨어러블 로봇까지 관심 영역이 확대될 전망
삼성 봇핏 관련주, 테마주, 대장주
이랜시스 (삼성 봇핏 대장주)
- 보안 솔루션 제품의 핵심 구동 모듈 및 청정 가전제품, 생활 가전제품의 핵심부품을 자체 설계, 제조, 판매
- 오일댐퍼, 감속모터 등의 국내시장 점유율 80% 이상을 점유하는 기업
- 삼성전자, 삼성SDS를 비롯해 SK매직, 코웨이, 노비타, 대림비데, 솔리티, 아이레보, 코맥스, 청호나이스, 쿠첸, 유진로봇 뿐 아니라 도시바, 샤프, 히타치가 이랜시스의 고객사
- 삼성전자의 웨이러블 로봇 ‘봇핏(Bot Fit)’ 시제품을 생산
- 삼성 봇핏에 들어가는 감속기는 이랜시스와 에스비비테크를 통해 이원화 공급되며, 이랜시스가 메인 공급사
차트 자세히 보기
인탑스 (삼성 봇핏 수혜주)
- IT디바이스, 자동차 부품 제조, 프린트 ASS`Y 제조, 가전제품 ASS`Y 제조 등의 사업을 영위
- 삼성전자의 갤럭시 A·M 시리즈의 스마트폰 케이스를 전문적으로 생산
- 인탑스는 미국 베어로보틱스의 서빙로봇인 ‘서비’와 ‘서비플러스’의 위탁생산을 독점적으로 맡아 진행 중
- 삼성전자의 웨이러블 로봇 ‘봇핏(Bot Fit)’ 시제품을 최종 조립·생산 등을 독점적으로 진행
- 협력사 중에서 대량 생산 능력을 보유한 유일한 기업으 구미 사업장에 생산라인이 준비
차트 자세히 보기
에스비비테크 (삼성 봇핏 테마주)
- 국내 최초 세라믹 볼 베어링 국산화를 시작. 2022년 코스닥 시장 상장함.
- 진공, 고온, 부식 등 특수 환경용 베어링을 자체 기술로 생산하여 높은 품질과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국내외 반도체, LCD 장비 및 공정에 공급하고 있음.
- 특수 환경이 요구되는 다양한 공정에서 특수 재료기술과 표면처리 기술, 특수 윤활 기술을 이용하여 특수 환경용 복합 베어링을 자체 생산 및 공급하고 있음.
- 산업용 로봇에서 핵심 부품인 하모닉 감속기의 국산화부터 생산에 이르기 까지 전 제조공정을 수행하는 기업
- 삼성전자의 웨이러블 로봇 ‘봇핏(Bot Fit)’에 사용되는 감속기 제품 납품 사실 부각
차트 자세히 보기
드림텍 (웨어러블 로봇 관련주)
-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카메라모듈을 개발 및 공급하는 CCM 사업 등 다변화된 사업구성을 보유 EMS 및 ODM 전문기업으로 삼성전자 1차 협력업체.
- 기존 스마트폰 밸류체인에서 원격의료 시장 진출로 비즈니스 모델을 확대 중임.
- 삼성 웨어러블 로봇(봇핏)에 적용되는 구동부 모듈, 메인 모듈, 센서 모듈, 통신 모듈을 드림텍이 담당할 것으로 전망
차트 자세히 보기
레인보우로보틱스
- 한국과학기술원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의 연구원들이 창업한 전문 벤처기업
- 한국 최초의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인 ‘HUBO’ 가 회사의 근간임.
- 제품군은 크게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 플랫폼, 협동로봇 및 천문 관측용 마운트 시스템으로 분류할 수 있음.
- 로봇 핵심기술을 기반으로 초정밀 지향 마운트를 개발하였으며, 취미 활동가, 전문가뿐만 아니라 최근 군사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마운트를 개발하여 시장을 꾸준히 확대하고 있음.
차트 자세히 보기
아진엑스텍
- 반도체 장비 및 스마트폰 장비와 같은 제조 및 검사 자동화 장비의 제어기 생산을 주된 사업
- 주요 제품은 반도체 장비, 스마트폰 장비, 이차전지 장비 등 다양한 제조/검사 자동화 장비에 적용되는 핵심부품임.
- 삼성전자와 2021년 1월 로봇용 전장박스(제어기, 서보모터 등의 전장품으로 구성) 납품을 시작으로 거래
- 2023년부터 삼성전자와 로봇 완제품 세트를 납품하기 시작
차트 자세히 보기
알에스오토메이션
- 공장자동화장비의 개발, 생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주요제품은 MMC-E 로봇 모션제어기, ESS용 전력변환장치(PCS) 등이 있음.
- 로봇 모션 제어 및 에너지 제어 장치를 제품군으로 보유한 국내 유일의 기업임.
- 로봇 컨트롤러를 삼성 기술연구소와 공동 개발해서 2005년부터 삼성전자에 납품
- 로봇이나, 정밀기계의 각도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엔코더는 모터의 핵심 부품인, 22bit 급 광학식 엔코더가 차세대 반도체 공정에 적용 진행 중
차트 자세히 보기
에스피지
- 정밀 제어용 모터 및 감속기 부품 개발, 생산 및 판매를 주 영업목적.
- 정밀 제어용 기어드 모터의 주요 기능은 자동화 시스템 및 가전기기 등에 사용되는 정밀 제어용 모터에 기어 박스 세트(감속 기어)를 부착하여 무거운 것을 운반하거나 들어 올릴 수 있는 힘을 제공함.
- 동사는 삼성전자, LG전자의 최첨단 PDP, LCD 라인 뿐만 아니라, 미국의 GE, Whirlpool에도 공급함.
- 삼성전자와 약 2년간의 공동 연구개발 끝에 개발한 구동형 액추에이터를 봇핏에 단독 공급
차트 자세히 보기
에브리봇 (삼성 로봇 밸류체인 관련주)
- 지능형 로봇의 제조 판매를 목적으로 2021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함.
- 자율주행 기술에 기반한 로봇청소기의 개발과 제조·판매 사업을 주로 영위하고 있음.
- 보급형 물걸레 로봇청소기 출시 이후 지속적인 제품별 라인업을 구축중이고 현재는 물걸레 로봇청소기 제품군이 전체 매출의 약 85%를 차지함.
- 2023년 8월 AI기술을 적용한 서빙로봇을 출시해 로봇 시장의 다양한 분야에 진출하기 위한 교두보를 마련함.
- 2023년 삼성전자와 지난해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센서의 특허를 공동 출원하고, 서비스 로봇의 공동 개발
차트 자세히 보기
엔젤로보틱스
- 의학과 공학을 결합한 동사의 고유 기술을 활용하여 웨어러블 로봇을 개발하고 있음.
- 동사는 독보적 3대 핵심 기술인 1) 인간행동 의도파악 기술, 2) 정밀한 힘 제어가 가능한 구동기 설계 및 제어 기술, 3) 인간적응형 보행궤적 및 보조력 생성 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 2023년 ‘워크온 슈트’ 산업기술 성과 10선 및 ‘개인 서비스 로봇’부문 올해의 로봇기업 수상.
- 가정 내 재활훈련 보조기기 브랜드인 ‘엔젤메디(Angel MEDI)’로 업계 1위
- 삼성전자를 고객사로 보유함.
차트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