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투자 관련주 이슈 원인
이재명 대통령은 한국을 벤처 및 스타트업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만들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40조 원 규모의 벤처 투자 시장을 육성하기 위한 계획을 발표하며 벤처투자 관련주들이 시장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벤처투자 관련주 이슈 히스토리
2025. 06.09 | ✔️ 이재명 정부, 연간 40조원 규모 벤처투자시장 육성 기대감 👉뉴스확인 ✅ 주도주 : TS인베스트먼트, 캡스톤파트너스 |
2025. 06.04 |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 1호 공약에 모태펀드 예산 확대 등 VC 활성화 방안에 대한 기대감 👉뉴스확인 ✅ 주도주 : 미래에셋벤처투자, LB인베스트먼트 |
2025. 04.21 |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과학 기술 연구개발 예산을 대폭 늘릴 것이라고 언 👉뉴스확인 ✅ 주도주 : 컴퍼니케이파트너스, 나우IB, SV인베스트먼트 |
벤처투자 관련주 업종 동향 및 특징
-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2024년 국내 벤처투자는 11조 9457억 원 규모. 2021년 15조 9371억 원을 기록한 이후 감소세를 보이던 국내 벤처투자는 지난해 3년 만에 반등
- 지분 보유 기업이 상장 기대감을 높일 때 주가가 상승하는 경향
- 이 대통령이 공약한 연간 40조 원 규모의 벤처투자 시장은 지금보다 3배 이상 큰 규모
모태펀드 정책
- 모태 펀드는 정부가 조성하여 민간 벤처펀드에 출자하는 펀드로, 개별 기업에 직접 투자하는 대신, 벤처캐피탈이 운영하는 벤처펀드에 투자하는 방식으로 벤처 투자 시장을 육성하는 정책 수단
- 공공자금의 성격을 띠는 정책금융이 차지하는 비중이 큰 우리나라의 특성상 벤처투자 시장 규모를 키우려면 모태펀드 등 정책금융 확대가 필요
- 실제로 지난해 모태펀드가 출자해 결성된 3조 1134억 원 전체 펀드 중 정책금융(모태펀드 포함)의 출자 금액은 1조 6598억 원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
- 이 대통령은 모태펀드 예산을 대폭 늘려 벤처투자 규모를 확대할 방침
- 모태펀드 올해 예산인 1조 원보다는 더욱 늘어날 전망
- 모태펀드가 출자한 벤처펀드는 보통 8년 내외로 운영되는데 현재 관련법상 모태펀드는 2035년에 운용이 종료될 예정이라 2027년부터는 신규 출자 사업이 영향을 받을 수 있어서, 10년 앞으로 다가온 모태펀드 존속기간 연장도 추진
이재명 대통령 벤처투자 주요 공약
- 모태펀드 예산 대폭 확대 및 존속기간 연장
- 글로벌 모태펀드 설립으로 해외 투자자 국내 벤처투자 참여 촉진
- 연기금 및 연기금투자풀 등의 벤처펀드 출자 확대 유도 방안 마련
- 퇴직연금의 벤처투자 허용
- 법인투자자가 민간 벤처모펀드 출자 시 세액공제 확대
- 스타트업 지방 비중 대폭 확대로 지방소멸 대응
- 지역 특색 및 산업 여건 고려한 스타트업파크 조성
- 벤처·스타트업 R&D 예산 확대
- 규제혁신 컨트롤타워 역할 강화
- AI 등 국내 첨단전략산업 100조 원 집중투자
국내 VC 운용사 AUM(운용자산) 순위 (2024년 기준)
순위 | 사명 | 벤처펀드 AUM | 사모펀드 AUM | 합계 |
---|---|---|---|---|
1 | IMM 인베스트먼트 | 1조7412억원 | 6조1648억원 | 7조9060억원 |
2 | 한국투자파트너스 | 3조4643억원 | 7914억원 | 4조2557억원 |
3 | SBVA | 2조1120억원 | 6636억원 | 2조7756억원 |
4 | KB인베스트먼트 | 2조2625억원 | 2442억원 | 2조5067억원 |
5 | 프리미어파트너스 | 8821억원 | 1조3404억원 | 2조2225억원 |
6 | 아주IB투자 | 1조2909억원 | 9114억원 | 2조2023억원 |
7 |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 2조630억원 | – | 2조630억원 |
8 | 신한벤처투자 | 1조4614억원 | 2868억원 | 1조7482억원 |
9 | SV인베스트먼트 | 1조994억원 | 6389억원 | 1조7383억원 |
10 | 인터베스트 | 1조3220억원 | 2400억원 | 1조5620억원 |
11 |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 | 1조4107억원 | 676억원 | 1조4783억원 |
12 | 스톤브릿지벤처스 | 1조3923억원 | 3084억원 | 1조4016억원 |
13 | 미래에셋벤처투자 | 1조1265억원 | 2220억원 | 1조3485억원 |
14 | DSC인베스트먼트 | 1조2565억원 | – | 1조2565억원 |
15 | LB인베스트먼트 | 1조1804억원 | 257억원 | 1조2061억원 |
16 | 우리벤처파트너스 | 1조2296억원 | 100억원 | 1조2396억원 |
17 | SBI인베스트먼트 | 1조193억원 | 1109억원 | 1조1302억원 |
18 | TS인베스트먼트 | 9268억원 | 865억원 | 1조133억원 |
19 | 원익투자파트너스 | 2733억원 | 6863억원 | 9596억원 |
20 | 나우IB캐피탈 | 5300억원 | 4250억원 | 9550억원 |
📌 벤처투자 관련주, 테마주, 대장주
TS인베스트먼트 (벤처투자 대장주)
- 벤처투자회사로 벤처기업 투자와 벤처투자조합의 결성 및 업무집행을 주력 사업으로 영위
- 창업자 및 벤처기업 투자, 벤처투자조합 결성·운용, 구조조정 기업 투자, 사모집합투자기구 결성·운용 등 업무집행사원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
- 중소·벤처 M&A 분야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투자기업 스케일업 제고와 성장파트너로서의 지원역할을 강화하고 있음.
- 뉴패러다임인베스트먼트 인수로 스타트업 투자 확대
- 주로 중소/벤처기업 투자 및 PEF 운용을 통해 성장성이 높은 기업에 투자.
- 바이오, ICT, 소재 부품 등 기술 기반 산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으며, 투자 기업의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에 강점
🔎차트 자세히 보기
미래에셋벤처투자 (벤처투자 수혜주)
- 벤처기업 투자, 벤처투자조합의 결성 및 업무 집행, 해외투자, 창업보육센터 설립 및 운영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함.
- 53개 VC투자조합과 6개 기관전용 사모집합투자기구에 약 20,742억원의 재원을 누적 결성하였음.
- 바이오/헬스케어, ICT제조/서비스, 엔터테인먼트/유통소비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투자하며 2005년 이후 20년 연속 흑자경영을 하고 있음.
- 미래에셋벤처투자는 기존 펀드를 통해 AI 밸류체인에 속하는 기업에 누적으로 2579억원 이상 투자를 집행
- 전체 투자 중 AI 관련 기업 투자가 43%를 차지
- AI 밸류체인에서 우량한 포트폴리오를 다수 보유. 리벨리온과 하이퍼액셀 등 NPU(신경망처리장치) 업체뿐 아니라 엑시나 등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기반 지능형 메모리 솔루션 개발업체에 투자
🔎차트 자세히 보기
SV인베스트먼트 (벤처투자 테마주)
- 연기금 및 금융기관의 투자재원을 활용해 성장성 높은 중소벤처기업에 투자하여 수익 실현함.
- 바이오/헬스케어, ICT/문화콘텐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17,250억원 규모 재원을 운용하며, 해외 2,566억원, 국내 14,684억원 투자조합과 사모집합투자기구 운용중.
- 영업수익은 조합수익, 지분법이익, 고유계정이익 등으로 구성되며, 해외 7개 자회사를 통해 글로벌 투자 확대함.
🔎차트 자세히 보기
컴퍼니케이 (벤처투자 관련주)
- 성장유망 중소·벤처기업 투자와 가치증대를 통한 우량기업 육성을 목적으로 설립된 벤처투자회사임.
- 창업자 투자, 벤처투자조합 결성 및 업무 집행, 벤처기업 투자를 주력사업으로 영위하며, 2025년 기준 18개 조합 운영으로 운영자산 9,439억원을 기록하고 있음.
- 성장유망 중소·벤처기업 투자와 가치증대를 통한 우량기업 육성으로 미래핵심 성장산업의 가치를 창출하며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있음
- 특히 기술 기반의 유망 기업 발굴에 강하며, 투자 기업의 성장과 상장까지 밀착 지원
🔎차트 자세히 보기
나우IB (VC 관련주)
- 벤처캐피탈 시장에서 활동하는 투자회사로서 투자조합 및 사모집합투자기구의 업무집행조합원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
- 관리보수, 성과보수, 지분법이익 등의 영업수익과 자문수수료, 이자수익, 배당금수익, 투자주식평가/처분이익 등의 기타영업수익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있음.
- 여신전문금융업법에 따른 재무건전성을 준수하며 1개의 비상장 종속회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안정적인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M&A 및 구조조정 전문성 보유, 1조 1,065억 원 운용자산 보유
- 특히 제약·바이오, 헬스케어 분야에 강점
🔎차트 자세히 보기
캡스톤파트너스 (창투사 관련주)
-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투자금융을 제공하는 벤처캐피탈 사업을 영위하기 위해 설립됨.
- 벤처투자촉진법에 따른 벤처투자회사로서 기술력이 높지만 자본과 경영여건이 취약한 초기단계 벤처기업에 자금과 경영서비스를 제공하고 인수합병, 상장 등을 통해 투자자금을 회수하는 금융회사임.
- 2023년 11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으며, 초기 벤처기업 발굴 및 투자를 위한 투자조합 결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음.
- 초기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 경험 풍부, 다양한 산업 분야에 투자
🔎차트 자세히 보기
LB인베스트먼트
- 벤처투자회사로서 중소/벤처기업에 투자금융을 제공하는 벤처캐피탈 사업을 영위하며, 벤처투자조합 11개, 사모투자합자회사 1개를 운용하고 있음.
- 기술력은 높으나 자본과 경영여건이 취약한 초기 벤처기업에 자금과 경영서비스를 제공하고 인수합병, 상장 등을 통해 투자자금을 회수하고 있음.
- IT, 바이오, 콘텐츠 등 다양한 분야에 투자하며, 특히 콘텐츠 분야(엔터테인먼트, 게임) 투자에 강점
🔎차트 자세히 보기
플랜티넷
- 인터넷 유해콘텐츠 차단서비스 전문기업임.
- 국내 최초로 인터넷 망을 통한 유해 사이트 필터링 서비스를 상용화하였으며, 국내 3대 ISP사업자와 MSO사업자, 케이블인터넷 사업자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 유해 영상 스트리밍 차단기술 개발과 인텔리전트 트래픽 솔루션 개발 등 신규서비스 및 매출포트폴리오 다양화를 위한 연구개발을 지속하고 있음.
- 자회사인 알바트로스인베스트먼트㈜를 통해 벤처투자사업 영위.
🔎차트 자세히 보기
린드먼아시아
- 중소기업창업지원법에 근거하여 설립됨. 중소·벤처기업 등에 대한 투자금융을 제공하는 벤처캐피탈로서 투자조합 및 경영참여형 사모집합투자기구 결성 및 운영을 주력 사업으로 영위
- 확장단계 기업에 투자하여 해외진출 및 사업확장 목적의 투자를 통해 기업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고 있어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운영하고 있음.
🔎차트 자세히 보기
에이티넘인베스트
- 벤처캐피탈로서 국내외 유망 중소·벤처기업 및 중견기업을 발굴하여 투자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약 431개 기업에 투자하여 27개 투자조합을 결성하고 22개 조합을 성공적으로 청산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5개 투자조합, 약 2조630억원의 운용자산을 운용중임.
- 중소벤처기업부 창업투자회사 평가에서 연속 최우수등급을 획득하며 운용 성과와 투명성, 위험 관리 등의 우수성을 입증하고 있음.
- 국내 대표적인 벤처캐피탈 중 하나로, 대형 펀드를 다수 운용하며 정보통신(IT), 바이오, 반도체 등 기술 기반 산업 전반에 걸쳐 초기부터 성장 단계까지 폭넓게 투자
- 주요 투자 성공 사례: 두나무(업비트), 리디, 크래프톤, 직방 등
🔎차트 자세히 보기
SBI인베스트먼트
- 소재·부품·장비, 바이오·헬스케어, 미디어·콘텐츠 등 첨단 산업에 투자하는 벤처투자회사로서 86개 펀드를 운영하며 900개 이상 기업 투자와 200개 이상 기업의 상장을 지원함.
- 2024년 3,795억원 규모의 신규 펀드를 결성해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하며 벤처기업 성장과 산업구조 고도화에 기여하고 있음.
🔎차트 자세히 보기
DSC인베스트먼트
- 벤처캐피탈로서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투자금융을 제공하며, 정책자금 및 민간자본으로 벤처투자조합을 결성하고 창업초기 기업 등에 투자를 주력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현재 17개의 벤처투자조합을 운영하고 있으며, 운영자산(AUM)은 12,565억원을 기록하고 있음.
- 창업초기기업에 대한 투자에 집중하여 벤처생태계 내 유망기업에 대한 자금지원과 가치증대를 통해 기업 성장을 지원하고 있음.
- 초기 스타트업 투자에 특화된 벤처캐피탈로 유명
- 팁스(TIPS) 운영사로서 기술 기반의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성장시키는 데 집중. 창업 초기 기업의 성장을 위한 지원에 적극적
- 주요 투자 성공 사례: 마이크로프렌드, 노을, 센서뷰 등
🔎차트 자세히 보기
우리기술투자
- 신기술사업금융 전문회사임.
- 신기술사업자가 발행하는 신·구주 인수와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인수를 통한 신기술사업투자와 신기술사업투자조합 결성 및 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있음.
- 신기술사업자에 대한 투자 및 수익 실현을 목적으로 투자조합을 결성하고 업무집행 조합원으로서 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있음.
- 신성이엔지 계열의 벤처캐피탈 업체.
- 주로 IT, 바이오, 문화 콘텐츠 등 신기술 사업 금융에 투자하며, 특히 블록체인 및 가상자산 관련 기업 투자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입니다.
- 두나무(업비트) 투자로 유명
🔎차트 자세히 보기
대성창투
- 벤처기업 투자, 벤처투자조합 결성 및 업무 집행, 해외기술 알선, 창업보육센터 운영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 부품소재, 에너지, 환경, ICT산업 및 문화콘텐츠에 특화된 창업투자회사로서 2025년 기준 3,726억원의 조합을 운용하고 있음.
- 2010년 대성창업투자로 사명을 변경하여 대성그룹 계열사로 브랜드를 구축함.
🔎차트 자세히 보기
아주IB투자
- 신기술사업금융업자로서 54개의 VC투자조합과 10개 사모집합투자기구 등 총 3조 3,212.5억원의 재원을 결성함.
- IT융복합, 바이오/헬스케어, 소비재 등 다양한 분야의 펀드를 결성하고, 미국 내 42개 업체와의 투자 및 19개 업체의 나스닥 상장 등 해외 실적을 보유하고 있음.
- 벤처투자(VC)와 사모투자(PE)를 겸하는 대표적인 투자사
- 특히 바이오/헬스케어, ICT 분야 투자에 강점
- 2025년 실리콘밸리 지점의 법인 전환을 계획하고 있음.
🔎차트 자세히 보기
❓ 벤처투자 관련주 궁금한점 물어보세요
VC 관련주는 어떤 흐름을 따라 움직이나요?
VC 관련주는 보통 벤처기업 및 스타트업 투자심리, IPO(기업공개) 활성화, 정부의 창업지원 정책 등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예를 들어, 정부가 모태펀드 예산을 늘리거나 스타트업 투자 세제 혜택을 확대하면 관련주가 동반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AI, 바이오, 2차전지 등 신성장 산업의 유망 스타트업이 많을수록 VC 기업의 수익 기대도 올라갑니다.
창투사 관련주 중에서 대장주는 무엇인가요?
투자한 기업이 상장 기대감을 높일 때 주가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어서, 벤처투자 대장주는 항상 바뀌기 때문에 특별한 대장주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