뱅크웨어글로벌 공모주 분석 (3가지 성장 전망, 위험요소) – 청약 할까 말까?

Photo of author

By 붉은말 : 부의 혁명

뱅크웨어글로벌 공모주 분석

코어뱅킹 솔루션을 개발해 공급하고 있는 기업인 뱅크웨어글로벌이 상장을 위한 IPO에 들어갑니다. 뱅크웨어글로벌의 공모주 청약 정보를 소개하고, 증권신고서와 투자설명서를 바탕으로 뱅크웨어글로벌 공모주 분석 내용을 공유하겠습니다.

뱅크웨어글로벌 기업 소개

뱅크웨어글로벌은 은행 및 금융회사를 대상으로 코어시스템 소프트웨어를 공급하는 금융 소프트웨어 전문 기업입니다.

당사는  금융기관의 고객 및 상품 정보를 관리하고, 여신, 수신, 할부금융, 카드 등 금융상품 거래를 높은 신뢰도와 성능, 안정성을 갖고 처리하는 코어금융 소프트웨어를 자체 기술로 개발하여 국내외 100여 금융기관에 공급하였으며, 당사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금융회사의 코어시스템 구축을 위한 컨설팅부터 시스템 설계, 구축, 운영까지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코어뱅킹 시스템이란? (Core Banking System)

코어뱅킹 시스템은 코어뱅킹 업무를 처리하는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가트너(Gartner Group)는 코어뱅킹 시스템을 ‘일별 거래를 처리하고 고객 계정과 기타 재무기록을 업데이트하는 백엔드시스템’ 으로, ‘수여신 업무처리, 총계정원장 시스템 인터페이스, 그리고 레포팅툴 등이 포함’된다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국내의 경우 은행업에서는 계정계 시스템, 카드업에서는 기간계 시스템으로 지칭하기도 합니다 

뱅크웨어글로벌 제품 포트폴리오

뱅크웨어글로벌은  코어시스템을 구축하는 중대형 금융회사를 대상으로 코어뱅킹, 할부금융 등 당사 소프트웨어 제품의 라이선스를 판매하고 동 소프트웨어 도입 금액의 일정비율을 매년 수취하는 소프트웨어 유지보수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해외시장에서는 코어뱅킹 등 금융 소프트웨어를 다년간 매월 고객계좌 수 등의 사용량을 기준으로 비용을 청구하는 구독형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금융 및 플랫폼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공급하고 동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고객 요구 사항을 맞춤 개발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 구축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당사가 구축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을 운영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뱅크웨어글로벌 공모주 분석

뱅크웨어글로벌 공모주 청약 일정

뱅크웨어글로벌의 공모주 청약은 2024.08.01부터 시작되고, 2024.08.12 상장됩니다.

수요예측일2024.07.23 ~ 07.29
공모청약일2024.08.01 ~ 08.02
환불일2024.08.06
납일일2024.08.06
상장일2024.08.12

뱅크웨어글로벌 공모 개요

뱅크웨어글로벌의 공모가는 16,00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희망 공모가격 16,000 원 ~ 19,000 원
희망 공모금액  224 억원  ~ 266 억원
확정 공모가격 16,000 원
확정 공모금액 224 억 원
증권회사 미래에셋증권
공모주식수1,400,000 모집 100%
전문투자자1,050,000 주75 %
우리사주조합0 주0%
일반청약자350,000 25 %
해외투자자0 주0%

뱅크웨어글로벌 공모자금 사용 목적

뱅크웨어글로벌의 솔루션 고도화와 AI 등 신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개발비, 인력 충원, 관련해서 개발에 필요한 인프라 구축, 글로벌 사업을 포함한 당사 사업 역량 강화를 위한 인력 교육 비용 및 마케팅 비용 그리고 해외 사업 역량 강화를 위한 해외법인의 증자 및 해외 개발센터 설립 등에 지출할 예정입니다.

뱅크웨어글로벌 수요예측 경쟁률

뱅크웨어글로벌의 기관 단순 경쟁률은 156 : 1로 흥행에 성공하였습니다.

뱅크웨어글로벌 수요예측 가격 분포

뱅크웨어글로벌의 수요예측 결과 희망공모가 밴드 상단인 19,000원 이상 비율이 59.43%, 밴드 하단인 16,000원 이하 비율이 37.64%로 밴드 상단 이상 비율 높았지만, 최근 상장 기업들의 공모가가 과도하게 부풀려졌다는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된 점을 고려해 시장 친화적으로 밴드 하단으로 공모가를 확정했습니다.

뱅크웨어글로벌 의무보유 확약

뱅크웨어글로벌은 공모주 신청수량 기준 1.5%만이 의무보유 확약을 신청하는 저조한 성적을 기록했습니다.

뱅크웨어글로벌 공모후 주주 구성

뱅크웨어글로벌의 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지분율이 31.97% 입니다.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의무보유확약 기간 종료 후 각 당사자의 지분에 대한 각 당사자의 우선매수권 행사 불가로 인한 타인으로의 매각, 적대적 M&A, 주주행동 등 예상하지 못한 사유로 인하여 당사의 경영권 안정성이 약화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뱅크웨어글로벌 보호예수 및 뱅크웨어글로벌 유통 물량

뱅크웨어글로벌의 보호예수 물량은 63.87%이고,

뱅크웨어글로벌의 유통가능 물량은 36.13% 입니다. ( 구주 매출 물량은  22.13% )

뱅크웨어글로벌 재무제표

  • 2022년 들어서 매출액이 크게 감소하면서 적자전환.
  • 2022년 기준 자본잠식이 이루어진 상황.

뱅크웨어글로벌 유사기업 선정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는 상기 선정기준을 충족하는 핑거, 웹케시, 쿠콘, 브리지텍, 케이씨에스 총 5개사를 최종 유사기업으로 선정하였습니다.

뱅크웨어글로벌 전망

글로벌 서비스형 뱅킹(BaaS, Banking-as-a-Service) 시장 성장성

BaaS는 금융 서비스를 다양한 비금융 기업이나 기술 기업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전통적인 은행이나 금융기관은 기업 고객에게 직접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나 BaaS사업자는 은행/금융기관의 금융상품 및 서비스를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비금융 기업에 제공함으로써 비금융기업이 자신의 상품/서비스에 금융서비스를 내재화(embedded)하여 제공할 수 있습니다.

핀테크 기업 핀다와 BCG(보스턴컨설팅그룹)에 따르면 글로벌 서비스형 뱅킹 시장(BaaS: Banking as a Service)이 2028년까지 평균 15% 성장해 2028년에 1,92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글로벌 BaaS 시장 전망

코어뱅킹 소프트웨어의 우수성

뱅크웨어글로벌의 코어뱅킹시스템은 경쟁사 대비 도입기간 단축(약 30% 감소), 시스템 성능 향상(배치처리속도 4배, 온라인 처리속도 2배), 유지비용 절감(코어뱅킹 운영인력 비용 30% 감소, 계좌당 운영 비용 60% 감소) 등으로 인하여, 연간 7~11%의 견조한 실적 성장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동남아 지역에서 코로나19 이후 디지털뱅킹에 대한 수요 급증

현재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캄보디아 등 동남아는 최근 경제의 급성장으로 인해 은행 및 카드 서비스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평균 연령층도 젊어 모바일 금융서비스에 대한 높은 시장 잠재력을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의 성장성을 확인하여 뱅크웨어아시아 법인을 통해 당사의 CBP와 SaaS 제품인 BADA를 기반으로 기존 고객이 있는 필리핀, 미얀마뿐만 아니라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동남아 주요 국가로 비즈니스를 확장할 계획입니다.

뱅크웨어글로벌 위험요소

경쟁 심화의 위험

금융 서비스 제공업체를 위한 디지털 솔루션 시장은 경쟁이 치열한 상황입니다.

국내의 경우 Tier 2급 이상의 금융회사에선 SI 성격의 프로젝트가 많아 LG CNS, SK주식회사(舊 SK C&C) 같은 대형 SI회사와 경쟁하거나, 은행 및 금융회사가 자체 개발한 솔루션과 경쟁합니다.

해외 시장에서 글로벌 금융 소프트웨어 기업과 경쟁할 때는 소프트웨어의 우수성과 레퍼런스에 더해 당사 솔루션이 한국 금융시장 특유의 다양한 금융상품과 고도화된 서비스 기능을 내장하고 있다는 점과 경쟁사 대비 고객 맞춤화 유연성이 훨씬 높고, 고객 대응 속도와 질이 뛰어나다는 점을 경쟁우위 요소로 강조하고 있습니다. 

자산운용 통합플랫폼을 SaaS형 모델로 제공했던 기업이 현재까지는 많지 않았지만, SaaS 플랫폼 기업은 다수 존재하고 그 기업들이 추후 사업을 확장함으로써 시장점유율을 잠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추후 경쟁 심화로 주요 사업의 실주, 고객 이탈, 제품가격 하락 등 당사의 사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2022년 매출액이 크게 감소하면서 적자전환

당사의 매출총이익률은 2021년 10.9%에서 2022년 4.6%로 감소하였으나, 2023년 11.9%로 반등하였고, 2024년 1분기 -2.4%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다만 당사는 2022년 ~ 2023년 영업손실, 2021년 ~ 2023년 당기순손실을 시현하고 있는데 이는 높은 원가 비중과 해외사업 진출비용, 증가하는 연구개발비등에 기인합니다.

2022년 들어서 매출액이 크게 감소하면서 적자전환을 했다는 점을 봤을 때 확장성의 한계에 도달한 것이 아닌지 의심이 들게 하고, 또한 2022년 기준 자본잠식이 이루어진 상황입니다.

뱅크웨어글로벌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에 따른 지분 희석 위험

2021년, 2023년 2개 회차에 걸쳐 우수한 인력 유출 방지를 위해 949,498주의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였으며 행사 및 취소 수량을 제외한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행사되지 않은 주식매수선택권 수량은 812,298주로 현재 발행주식총수 8,558,988주의 9.49%에 해당합니다.

 2021년, 2022년, 2023년 및 2024년 1분기 기준 당사가 인식한 주식보상비용은 각각 338,323천원, 445,512천원, 175,580천원, 107,485천원이며 주식보상비용 인식이 예상됨에 따라 당사의 손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뱅크웨어글로벌 공모주 청약 할까 말까? (내용 정리)

  • 코어뱅킹 솔루션을 개발해 공급하는 기업
  • 기관 단순 경쟁률은 기관 단순 경쟁률은 156 : 1로 흥행에 성공
  • 희망공모가 밴드 16,000~19,000 중 밴드 상단인 19,000원 이상 비율이 59.43%, 밴드 하단인 16,000원 이하 비율이 37.64% 이었지만 시장 친화적으로 밴드 하단인 16,000원 공모가 확정
  • 유통가능 물량은 36.13% ( 구주 매출 물량은  22.13% ) 다소 부담스러운 수준.
  • 동남아 지역에서 코로나19 이후 디지털뱅킹에 대한 수요 급증
  • 2022년 매출액이 크게 감소하면서 적자전환

개인 의견 :  청약 불참 (유통가능 물량 및 구주 매출 물량이 많아 오버행 이슈)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