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보택시 관련주 이슈 원인
테슬라의 완전자율주행 로보택시 서비스가 오는 2025년 6월 22일 경으로 잠정적인 개시일로 진행할 계획임을 밝히자 로보택시 관련주들이 시장의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로보택시 관련주 이슈 히스토리
2025. 06.11 | ✔️ 테슬라 로보택시 2025년 6월 22일 경으로 잠정적인 개시일로 진행 👉뉴스확인 ✅ 주도주 : 에스오에스랩, 라이콤, 포니링크 |
2025. 05.12 | ✔️ 6월 로보택시 출시 앞두고 로보택시 안정성 평가. 테슬라(+4.72%) 주가 상승 👉뉴스확인 ✅ 주도주 : 유진로봇, 퓨런티어 |
2025. 04.23 | ✔️ 일론 머스크 CEO 경영 집중 발언 및 로보택시 기대감 👉뉴스확인 ✅ 주도주 : 옵트론텍, 아이에이 |
로보택시 관련주 업종 동향 및 특징
-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텍사스 오스틴에서 수천 대의 차량으로 자율주행을 테스트하고 있으며 6월 말까지 서비스를 시작
- 첫 주에는 10대로 시작해 몇 달 내 1000대로 빠르게 늘릴 것이라고 예고
- 이번에 투입될 로보택시는 테슬라의 SUV 모델 Y를 기반
- 향후 출시될 완전자율주행 소프트웨어 ‘FSD 언슈퍼바이즈드(FSD Unsupervised)’ 버전이 탑재될 예정
- 테슬라는 이미 오스틴에서 로보택시 서비스를 운행하고 있는 웨이모와 미국 내 자율주행차 시장에서 본격적인 ‘직접 경쟁’을 예고
- 로보택시는 운전자를 배제함으로써 운전자 비용 절감과 24시간 운영이 가능
- 로보택시는 단순한 차량 판매가 아니라 모빌리티 구독 서비스, 플랫폼 비즈니스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
- 글로벌 로보택시 시장 규모는 지난해 약 30억달러에서 2034년 1900억달러로 연평균(CAGR) 51.4%의 가파른 성장이 예상
📌 로보택시 관련주, 테마주, 대장주
퓨런티어 (로보택시 대장주)
- 자동차 전장용 카메라 장비와 자동화 부품을 개발 판매함.
- 장비사업부는 삼성전기, LG이노텍 등 9개 전장부품업체에 핵심 공정장비를 납품하고, 부품사업부는 산업용 PC, 검사용 LED 광원, 자동화 컴포넌트를 개발 판매함.
- 카메라 자동화 기계 설계, 실시간 영상 처리, Active Align 등 독자 알고리즘과 고속 고정밀 제어 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 테슬라의 모델 Y주니퍼 등 주력 차종 페이스리프트 및 신차 출시와 2026년 로보택시 ‘사이버캡’ 대량 양산 등으로 주요 카메라 업체(삼성전기, LG이노텍, 엠씨넥스 등)의 투자 확대와 생산능력 확대가 예상
🔎차트 자세히 보기
스마트레이더시스템 (로보택시 수혜주)
- 4D 이미징레이다 기술 기반으로 설립된 자율주행, 특장차, 드론 등의 기술을 선도하는 테크 기업
- 비균일 배열 안테나 설계, 실시간 레이다 신호처리 기술, 인공지능 기반 사물인식 알고리즘 등 4D 이미징 레이다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 자율주행 차량, 농기계, ADAS용 특수 차량 등에서 글로벌 업체들과 협력하며 Anti-Drone 수출과 헬스케어 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음.
- 자율주행차의 핵심 센서인 레이더 솔루션을 제공하여 로보택시의 정확한 주변 인식에 기여
🔎차트 자세히 보기
에스오에스랩 (로보택시 테마주)
- 라이다 개발 및 제조 기업으로 설립되어 자동차, 로봇, 스마트인프라 등 다양한 산업에 라이다 제품과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음.
- 라이다는 광 신호의 반사 시간을 측정해 거리를 계산하는 기술로, 주변 물체와의 거리데이터로 3D 공간정보를 생성할 수 있음.
- 기계식 구동부가 없는 고정형 라이다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내구성과 소형화, 생산원가 측면에서 구조적 이점을 가진 차세대 라이다 개발에 주력하고 있음.
- 차량, 로봇 등 자율주행 모빌리티용 3D 고정형 라이다 제품 ML 시리즈와 OHT/AGV용 2D 라이다 제품 GL 시리즈 보유
🔎차트 자세히 보기
포니링크 (로보택시 관련주)
- 해외패션사업부는 프라다, 구찌 등 43개 명품 브랜드를 병행수입하여 유통하고 있으며, IT사업부는 무선인터넷 기반 인프라와 솔루션 사업을, 모빌리티사업부는 자율주행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음.
- 자율주행 솔루션의 실증사업을 전개하며 운영 데이터 기반의 안정성 검증과 서비스 최적화로 완성도 높은 상용화 체계를 구축하고 있음.
- 중국의 선도적인 자율주행 기술 기업 포니에이아이(Pony.ai)와 협력하여 국내에서 자율주행 사업을 추진
- KG모빌리티(옛 쌍용자동차)와 자율주행 기술 협력 업무협약을 맺는 등 국내 완성차 업체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사업 확장
🔎차트 자세히 보기
모바일어플라이언스
- 영상기록장치, ADAS, HUD, 내비게이션 제조 및 유통 기업으로 설립
- 스마트카와 완전자율주행자동차의 기반 기술인 레이다영상기록장치, ADAS, HUD 등을 개발하여 BMW, Audi, Benz, JLR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공급하고 있음.
- 제품 다양화로 리스크를 감소시키고 기존 제품과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융합 제품을 개발하여 기술 진입 장벽을 높이는데 주력하고 있음.
🔎차트 자세히 보기
와이제이링크
- SMT 공정 스마트화 장비 제조 기업임.
- 멕시코와 인도에 생산법인 설립을 추진하며, PCB이송장비, SMT 후공정 장비 및 Smart Factory Solution을 주력으로 함.
- Tesla, Apple 등 글로벌 Top Maker와 EMS 업체에 장비를 공급하며 국내 최고의 SMT 제조업체로 성장하고 있음.
🔎차트 자세히 보기
라닉스
- 무선통신, 보안 및 인증 관련 시스템반도체, S/W, H/W 솔루션을 개발하는 업체로 설립
- Autonomous Vehicle, Automotive MCU, Smart Life 사업부문을 영위하며, V2X 통신 통합 솔루션은 글로벌 유일하게 시스템 반도체와 S/W, H/W 솔루션을 모두 보유하고 있음.
- 차량용 반도체 MCU 국산화와 V2X 기술 고도화를 통해 미래 자동차 시장을 선도하고 있음.
- 지능형 교통 시스템(C-ITS) 및 자율주행차의 핵심 기술인 V2X(차량-사물 통신) 통신 솔루션을 개발
🔎차트 자세히 보기
라이콤
- 광섬유를 이용한 광증폭기, 광송수신기 등 응용 통신 모듈 제품을 제조·판매
- 광섬유 레이저 및 센싱 등 신사업 추진에 집중하고 있으며, kW급 산업용 광섬유 레이저 기술로 초기 시장 진입 완료 및 수요 확대를 추진하고 있음.
- 자율주행 라이다 핵심 부품인 초소형 ‘펄스드 파이버 레이저’를 개발
🔎차트 자세히 보기
아모센스
- 소재부품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소재, 모듈 및 디바이스 & 플랫폼 등 3가지 사업영역을 영위하고 있음.
- 사업부문 중 현재 매출 비중이 큰 주요 제품은 소재부문의 차폐시트, 전장 및 RF모듈 그리고 디바이스 & 플랫폼의 IoT 디바이스 등임.
- 소재부문의 무선충전 차폐시트, 전장 및 RF모듈, IoT 디바이스 등을 생산하며, 특히 SOFC 세라믹 기판과 Si3N4 세라믹 기판 등 차세대 소재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음.
- 자율주행차량용 무선충전 소재 및 모듈, 센서 등을 개발
🔎차트 자세히 보기
슈어소프트테크
- 고신뢰 고위험 소프트웨어의 안전성 검증을 자동화하는 도구 개발 및 공급과 3자 검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임.
- 자동차, 국방, 원자력 등 다양한 분야의 국내 선두 기업에 시험검증 자동화 솔루션을 라이선스, 유지보수, 구독 방식으로 공급하고 있음.
- 자동차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SDV 체제 전환에 맞춰 차세대 차량 제어기 소프트웨어 개발까지 확장하며 종합 엔지니어링 파트너로 성장하고 있음.
🔎차트 자세히 보기
❓ 로보택시 관련주 궁금한점 물어보세요
🤖 로보택시 관련주에는 어떤 종목이 있나요?
로보택시 관련주에는 테슬라 TSLA 관련주, 자율주행 관련주, 라이다 관련주 등이 연관이 있습니다. 주요 종목으로는 퓨런티어, 스마트레이더시스템, 에스오에스랩, 포니링크, 모바일어플라이언스, 와이제이링크, 라닉스, 라이콤, 아모센스, 슈어소프트테크 등이 있습니다.
💡 로보택시 대장주는 무엇인가요?
로보택시 대장주로는 주로 퓨린티어가 가장 큰 폭으로 움직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