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진단 및 방사성 의약품 개발 기업인 듀켐바이오가 상장을 위한 IPO에 들어갑니다. 듀켐바이오의 공모주 청약 정보를 소개하고, 증권신고서와 투자설명서를 바탕으로 듀켐바이오 공모주 분석 내용을 공유하겠습니다.
듀켐바이오 기업 소개
듀켐바이오는 암과 뇌질환을 타겟으로 진단 및 치료를 위한 방사성 의약품을 전문으로 개발,제조 및 판매하는 업체로 설립되었으며, 국내 PET-CT용 방사성의약품 최다 품목 보유 및 GMP인증을 획득한 의약품 제조소 6곳을 포함해 국내 최다 12곳의 제조소를 갖춤으로서 안정적인 의약품 공급망을 기반으로 관련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듀켐바이오 생산 제품
듀켐바이오가 영위하고 있는 사업은 방사성의약품 연구/개발/제조/마케팅/판매이며, 국내 주요 병원에 FDG (암진단), FP-CIT (파킨슨병진단), Vizamyl (알츠하이머성 치매진단), F-DOPA(뇌종양, 신경내분비종양 등 진단) 등의 방사성의약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듀켐바이오 공모주 분석
듀켐바이오 공모주 청약 일정
듀켐바이오의 공모주 청약은 2024.12.11부터 시작되고, 2024.12.20 상장됩니다.
수요예측일 | 2024.12.02 ~ 12.06 |
공모청약일 | 2024.12.11 ~ 12.12 |
환불일 | 2024.12.16 |
납일일 | 2024.12.16 |
상장일 | 2024.12.20 |
듀켐바이오 공모 개요
듀켐바이오의 공모가는 8,000 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희망 공모가격 | 12,300 원 ~ 14,100 원 |
희망 공모금액 | 176 억원 ~ 202 억원 |
확정 공모가격 | 8,000 원 |
확정 공모금액 | 114 억 원 |
증권회사 | NH투자증권 |
공모주식수 | 1,430,000 주 | 모집 100% |
전문투자자 | 1,054,700 주 | 73.76 % |
우리사주조합 | 17,800 주 | 1.24 % |
일반청약자 | 357,500 주 | 25 % |
해외투자자 | 0 주 | 0% |
듀켐바이오 공모자금 사용 목적
당사는 알츠하이머 치매 진단제 Neuraceq 생산을 위해 한양대병원제조소에 14.6억원의 설비투자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또한, 치료용 방사성의약품을 생산할 수 있는 시설 확충을 위해 신촌세브란스병원제조소에 33.5억원의 설비투자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듀켐바이오 수요예측 경쟁률
듀켐바이오의 기관 단순 경쟁률은 48 : 1로 흥행에 실패하였습니다.
듀켐바이오 수요예측 가격 분포
듀켐바이오의 수요예측 결과 희망공모가 밴드 하단인 12,300원 미만 비율이 98.49%를 기록했습니다.
듀켐바이오 의무보유 확약
듀켐바이오는 공모주 신청수량 기준 0.0001%가 의무보유 확약을 신청하였습니다.
듀켐바이오 보호예수 및 듀켐바이오 유통 물량
듀켐바이오의 보호예수 물량은 61.65%이고,
듀켐바이오의 유통가능 물량은 38.35% 입니다. (듀켐바이오의 구주매출 물량은 33.38% )
듀켐바이오 재무제표
듀켐바이오 비교기업 선정
대표주관회사인 NH투자증권㈜은 발행회사인 ㈜듀켐바이오의 지분증권 평가를 위하여 사업의 유사성, 재무적 기준 등의 선정 기준에서 일정수준 이상을 충족하는 Telix Pharmaceuticals Ltd, Lantheus Holdings Inc, ㈜퓨쳐켐 등 총 3개사를 최종 비교기업으로 선정하였습니다
듀켐바이오 전망
치매치료제 “레켐비” 국내 시판 허가의 직접적 수혜 기업
알츠하이머성 치매 방사성의약품 진단제의 경우, 시장에서 93.4%의 생산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치매 관련 방사성의약품 시장은 레켐비(Leqembi)와 같은 치료제의 도입으로 인해 보다 정밀한 진단과 환자 선별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빠르게 성장 중이며, 당사는 이 분야에서 독보적인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국내 방사성의약품 분야에서 최대 네트워크를 보유
국내 방사성의약품 시장에서 가장 늦은 후발주자임에도 불구하고 2023년말 현재,
1.생산 실적(시장점유율: FDG 59.7%, FP-CIT 56.8%, Amyloid PET 93.4%),
2. 신약품목수(①허가완료 4품목: FP-CIT, Amyloid PET용 2종, FACBC, ②신규 신약허가 준비 의약품 4품목: 진단용으로 rhPSMA7.3, FES, illucix, 치료용으로 177Lu-PSMA), 그리고
3. 보유 제조소 수(GMP제조소 6곳, 휴업제조소 6곳)와 함께,
4. 주요 재무 지표(판매량, 매출 및 이익 규모 등)에서 모두 국내 방사성의약품 시장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한국을 대표하는 기업으로 글로벌 방사성의약품 리딩그룹 기업들과 다양한 사업을 협력하고 있습니다.
CDMO 생산 시설 투자를 통한 치료용 방사성 의약품의 안정적 공급
방사성 치료제 개발에 필수적인 동위원소인 177Lu는 암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최근 몇 년간 공급 부족 문제가 있었습니다.
당사는 K사와 MOU를 체결하고, 구체적인 계약 조건에 대한 협상을 진행중에 있습니다. K사는 고도의 177Lu 분리 기술을 제공하며, 이를 기반으로 당사는 CDMO의 핵심인177Lu의 안정적 생산 시설 구축을 포함한 cGMP 규격의 CDMO 생산 시설 구축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해당 시설이 완공되면 방사성 의약품의 품질 관리 및 규제 요건을 충족하면서 대량 생산 역량을 강화하게 될 것입니다.
듀켐바이오 위험요소
의정 갈등 장기화에 따른 위험
최근 의대 정원 확대를 둘러싼 의정 갈등이 지속되면서 주요 병원에서 진료와 수술이 지연되고, 환자 수가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의정 갈등의 장기화는 방사성의약품의 수요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PET/CT 촬영은 환자들이 직접 병원에 방문하여 이루어지는 진료 활동으로, 장기적인 예약 지연이나 취소는 당사의 영업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짧은 반감기에 따른 시장 확대의 제한 위험
방사성의약품은 방사성동위원소의 양이 절반으로 감소하는 시간인 반감기가 짧은 특성을 가지고 있어 제조에서 사용까지의 시간적 한계로 사용 시점 직전에 운송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방사성 의약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각 지역별로 제조소를 운영하여 공급 가능한 지역을 배분해야 하며, 완제품의 해외 수출이 어려운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콜옵션 행사에 따른 최대주주등의 경영 안정성 위험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유효한 (주)지오영과 김종우 부회장의 주주간 계약서에 따라 김종우 부회장은 (주)지오영에게 주식을 매도할 것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이하 “콜옵션”)를 가지고 있으며, 그 행사가격은 주당 6,509원입니다. 그리고 취득할 수 있는 물량은 주주간 정한 기준가 주당 11,853원을 초과하는 경우와 주당 15,804원을 초과하는 경우를 구간별로하여 구간에 따라 발행주식 총수의 3%에서 4.5%까지 취득할 수 있습니다.
콜옵션이 행사되는 경우의 최대주주 및 2대주주인 김종우 부회장의 지분율 변동은 다음과 같이 예상됩니다. 콜옵션을 최대 4.5% 행사 시에도, 최대주주 (주)지오영의 지분율은 47.47%로, 최대주주 지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
듀켐바이오 공모주 청약 할까 말까? (내용 정리)
- 암진단 및 방사성 의약품 개발 기업
- 기관 단순 경쟁률은 기관 단순 경쟁률은 48 : 1로 저조한 성적
- 희망공모가 밴드 상단인 12,300원 이 비율이 98.49% 로 8,000원 공모가 확정
- 유통가능 물량은 38.35% (구주매출 물량은 38.33% )
개인 의견 : 청약 불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