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관련주 TOP10+ | 대장주, 테마주, 수혜주

Photo of author

By 붉은말 : 부의 혁명

당뇨-관련주

📢 당뇨 관련주 이슈 원인

세계 최대 규모의 당뇨 관련 학회에서 국내외 제약사들이 신약 개발 성과를 발표하면서 당뇨 관련주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습니다.

📅 당뇨 관련주 이슈 히스토리

2025.
06.09
✔️ 임신성 당뇨를 검사하는 유일한 의약품인 글루오렌지가 품절
👉뉴스확인
✅ 주도주 : 한국맥널티
2025.
05.29
✔️ 대웅제약의 엔블로가 지방간 동반 2형 당뇨병 환자를 위한 새로운 치료 옵션으로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소식👉뉴스확인
✅ 주도주 : 대웅제약

🧭 당뇨 관련주 업종 동향 및 특징

  • GLP-1 계열 치료제 부상: GLP-1 수용체 작용제는 혈당 조절뿐만 아니라 체중 감량 효과까지 있어 당뇨병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혈당 강하제를 넘어선 다기능성 약물로 각광받으며 시장 성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 SGLT-2 억제제 약진: SGLT-2 억제제(Sodium-Glucose Co-Transporter 2 Inhibitor)는 신장에서 포도당 재흡수를 억제하여 소변으로 포도당을 배출시키는 기전을 가지며, 심혈관 및 신장 보호 효과까지 입증되어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LG화학의 ‘제미글로’, 대웅제약의 ‘엔블로정’ 등이 대표적입니다.
  • 연속혈당측정기(CGM) 및 인슐린 펌프 기술 발전: 당뇨병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하는 연속혈당측정기(CGM)와 인슐린 펌프의 기술 발전이 두드러집니다. 기기의 크기가 작아지고, 혈당 측정의 정확도가 높아지면서 환자들의 자가 관리가 더욱 용이해지고 있습니다.
  • 인공지능(AI) 접목: AI 기술이 접목된 인공 췌장 시스템(자동화된 인슐린 전달 시스템)은 혈당 예측 및 인슐린 주입을 자동화하여 혈당 조절의 정밀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이는 궁극적으로 환자 개개인의 맞춤형 의료를 가능하게 합니다.
  • 경구용 치료제 및 비인슐린 주사제 개발: 주사제에 대한 환자들의 거부감을 줄이고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경구용 인슐린 및 비인슐린 주사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디지털 헬스케어 접목: 모바일 앱, 웨어러블 기기 등을 활용한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은 환자의 혈당 관리, 식이요법, 운동 관리 등을 통합적으로 지원하며 당뇨 관리를 더욱 효율적으로 돕습니다.
  • 당뇨 케어 푸드 시장 성장: 당뇨병 환자를 위한 기능성 식품 및 건강기능식품 시장도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저칼로리 감미료 등 건강한 대체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지속적인 성장: 전 세계적으로 당뇨병 환자 수가 급증하면서 당뇨병 치료제 및 관련 기기 시장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2형 당뇨병 시장은 2024~2029년 연평균 12.2%의 복합 성장률(CAGR)로 성장하여 538억 달러 규모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국내 시장: 국내 당뇨병 치료제 시장 역시 성장세를 보이며, 2023년 기준 약 1조 4,300억 원 규모로 추정됩니다. 고령화 및 서구화된 식습관 등으로 인해 국내 당뇨병 환자 수도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 비만 치료제와의 연관성: 최근 당뇨 시장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비만 치료제 시장과의 강력한 연관성입니다. GLP-1(Glucagon-Like Peptide-1) 계열의 치료제들이 비만과 당뇨를 동시에 관리하는 효과를 보이면서 이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노보 노디스크의 ‘위고비’, 일라이 릴리의 ‘마운자로’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들 기업은 당뇨 및 비만 치료제 시장에서 독보적인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비만치료제와의 연관성

  • 최근 당뇨 시장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비만 치료제 시장과의 강력한 연관성.
  • GLP-1(Glucagon-Like Peptide-1) 계열의 치료제들이 비만과 당뇨를 동시에 관리하는 효과를 보이면서 이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
  • 노보 노디스크의 ‘위고비’, 일라이 릴리의 ‘마운자로’ 등이 대표적. 이들 기업은 당뇨 및 비만 치료제 시장에서 독보적인 점유율을 차지.

📌 당뇨 관련주, 테마주, 대장주

펩트론 (당뇨 대장주)

  • 생명공학 첨단기술 소재 제조 및 의약품연구 개발사업을 목적으로 설림.
  • 펩타이드 공학 및 약효지속화 원천 기술을 기반으로 약효지속성 스마트 의약품 설계·제조, 펩타이드 신약 개발을 수행하며, GMP 대량생산 시설로 임상시험·상업화 제품 생산이 가능함.
  • SmartDepot 기술을 적용한 신규 파이프라인 후보 및 신약 후보물질의 탐색과 연구개발을 지속하고 있음.
  • 비만 및 당뇨 치료제인 ‘위고비’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1개월 지속형 비만·당뇨 치료제 라이선싱 등 GLP-1 계열 당뇨/비만 치료제 개발에 강점
087010

🔎차트 자세히 보기

인벤티지랩 (당뇨 수혜주)

  • 마이크로플루이딕 기술 기반 DDS 플랫폼 기업으로 2025년 코스닥 상장사 큐라티스를 인수함.
  • 장기지속형 주사제용 IVL-DrugFluidic® 플랫폼과 유전물질 의약물 전달용 IVL-GeneFluidic®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음.
  • 장기지속형 주사제 전용 GMP 구축으로 임상시료 및 상업화 생산 기반을 마련하고, 유전자치료제와 mRNA 백신 제조공장의 LNP CDMO 서비스를 확장하고 있음.
389470

🔎차트 자세히 보기

대웅제약 (당뇨 테마주)

  • 대웅의 사업부문 인적분할로 설립되어 화성 향남공단과 청주 오송생명과학단지에 KGMP 제조시설을 보유함.
  • 의약품 제조·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며, 나보타, 우루사, 펙수클루, 엔블로, 올메텍, 가스모틴, 크레젯, 임팩타민 등을 주력 제품으로 보유함.
  •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투자와 혁신 신약 개발을 통해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으로 도약하며 지속가능한 가치 창출에 주력하고 있음.
  • 국산 36호 신약 ‘엔블로정’ 등 SGLT-2 억제제 계열 당뇨 신약 개발에 성공하며 주목
XXX

🔎차트 자세히 보기

한미약품 (당뇨 관련주)

  • 2010년 한미사이언스의 의약품 제조 및 판매 사업부문을 인적분할하여 설립되었으며, 같은 해 7월 유가증권시장에 재상장됨.
  • 의약품 제조 및 판매를 주력으로 하며, 복합고혈압치료제 아모잘탄, 복합고지혈증치료제 로수젯, 역류성식도염치료제 에소메졸 등을 생산하고, 연결종속회사를 통해 원료의약품과 해외의약품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국내외 특허권 1,632건을 보유하고 있으며, R&D를 통한 혁신 신약 개발에 주력하고 있음.
XXX

🔎차트 자세히 보기

한국맥널티 (임신성 당뇨 관련주)

  • 커피 제조 및 가공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2020년 제약사업 부문을 맥널티제약으로 물적분할함.
  • 생두에서 원두커피 가공제품, 인스턴트 커피, 커피음료 제조 판매를 주사업으로 하며, 카페운영과 커피관련 교육사업도 함께 영위하고 있음.
  • 극저온 초미세 분쇄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커피 이외에도 건강기능식품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음.
  • 임신성 당뇨를 확인하는 유일한 의약품인 글루오렌지는 한국맥널티가 지분 66.97% 보유하고 있는 자회사 맥널티제약이 생산 중
  • 수익성이 나빠 제약사에서 ‘돈 안 되는 약’ 취급을 받으면 지금처럼 품절 대란으로 이어져 맥널티제약이 생산하는 글루오렌지 약가 인상으로 수익성이 회복될 것이라는 기대감
222980

🔎차트 자세히 보기

넥스턴바이오

  • CNC자동선반 제조 및 판매 목적으로 설립되어 2006년 코스닥 상장, 2021년 넥스턴바이오사이언스로 사명 변경함.
  • 자동차, 통신장비, 의료부품, 전자가전용 CNC자동선반을 주력 생산하며, 24시간 연속 무인자동화 가공이 가능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음.
  • 2017년부터 심혈관 중재시술 보조 로봇 시스템을 신규 사업으로 추진하여 부정맥 및 혈관 중재시술이 가능한 임상용 시제품을 개발하고 있음.
  • 넥스턴바이오가 투자한 미국 기업 ‘로스비보(RosVivo)’가 정식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는 소식
  • 로스비보는 올해 해부학적으로 사람과 유사한 돼지를 활용한 당뇨 비임상을 계획 중
089140

🔎차트 자세히 보기

DXVX

180400

🔎차트 자세히 보기

LG화학

051910

🔎차트 자세히 보기

HLB펩 [舊 애니젠]

  • 펩타이드 바이오소재 및 글로벌 혁신 신약을 개발하는 기업임.
  • 의약품, 원료의약품, 의약부외품의 제조·판매와 생명공학 연구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며, 장성제1공장과 오송제2공장의 GMP 생산시설을 보유하고 있음.
  • APsoluT 플랫폼 기술로 유방암, 위암, 대장암, 바이러스 등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핵심 파이프라인을 구축해 국내외 전문가와의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음.
  • HLB펩은 펩타이드 의약품, 특히 GLP-1 작용 기반 당뇨 및 비만 치료제 개발에 주력
196300

🔎차트 자세히 보기

로킷헬스케어

376900

🔎차트 자세히 보기

디앤디파마텍

  • 혁신신약 연구개발 전문기업임. GLP-1 등 펩타이드 기술 기반으로 비만, MASH 등 대사성질환과 퇴행성 뇌질환 등 미충족 의료수요가 높은 질환군의 신약을 개발하며, 페길화 기술과 주사제 경구화 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 글로벌 파트너사와의 기술이전과 공동개발을 통해 신약후보물질 사업화를 추진하고 있음.
  • 당뇨 치료제인 NLY12를 개발
XXX

🔎차트 자세히 보기

아이센스

  • 전기화학기술과 바이오센서 기술을 바탕으로 설립되어 혈당측정기와 현장진단기기를 개발, 제조, 판매하는 기업임.
  • 혈당측정기 부문은 자가혈당측정기, 연속혈당측정기 등으로 매출의 80% 이상을, 현장진단 부문은 전해질/가스 분석장비, 당화혈색소 분석장비 등으로 10% 이상을 차지함.
  • 디지털 헬스케어 준비를 위해 온라인 플랫폼 기업들에 투자하며 당뇨관리 플랫폼 서비스와의 시너지 창출을 추진하고 있음.
  • 국내 개발 최초 식약처 허가, 케어센스 에어 연속혈당측정시스템
099190

🔎차트 자세히 보기

동운아나텍 (연속혈당측정기 관련주)

094170

🔎차트 자세히 보기

녹십자엠에스

142280

🔎차트 자세히 보기

케어젠

  • 펩타이드와 성장인자 단백질에 대한 연구개발을 기반으로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의료기기, 화장품 제품을 개발하여 전 세계 130개국에 판매하며, 국내외 760여건의 특허를 포함한 대규모 펩타이드 라이브러리를 보유함.
  • 황반변성 치료제, 당뇨병 치료제, 탈모 치료제 등 다양한 적응증의 신약 파이프라인 개발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음.
  • 혈당조절 건강기능식품 ‘프로지스테롤’을 보유
214370

🔎차트 자세히 보기

❓ 당뇨 관련주 궁금한점 물어보세요

💰 국내 당뇨 관련주 중 눈여겨볼 만한 기업이나 기술 트렌드가 있다면?

내에서는 장기지속형 GLP-1 유사체를 개발하는 펩트론이 특히 주목받고 있으며, 대웅제약의 SGLT-2 억제제 ‘엔블로정’도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아이센스의 연속혈당측정기(CGM) 등 의료기기 분야도 높은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 글로벌 시장에서 당뇨 관련주의 핵심 플레이어는 어디인가요?

단연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와 **일라이 릴리(Eli Lilly)**입니다. 이 두 기업은 GLP-1 계열의 대표적인 당뇨/비만 치료제인 ‘위고비’, ‘오젬픽’, ‘마운자로’, ‘젭바운드’ 등을 통해 전 세계 당뇨 및 비만 치료제 시장을 사실상 양분하고 있습니다. 이들의 주가 흐름은 국내 당뇨 관련주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하셨나요?

평점을 매겨주세요!

평균평점 5 / 5. 투표수 : 495

가장 먼저, 게시물을 평가해보세요

댓글 남기기

error: 우클릭이 불가능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