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로모픽 반도체 관련주 이슈 원인
차세대 시스템 반도체 설계 전문 기업 ‘자람테크놀로지’는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이 주관하는 ‘AGI(인공일반지능)를 위한 뉴로모픽 알고리즘 및 뉴로모픽 반도체 핵심 원천 기술 개발’ 2차 과제에 핵심 연구기관으로 자람테크놀로지가 선정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이에 따라 AI 반도체 중 가장 진화된 반도체로 불리는 뉴로모픽 반도체 관련주들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이번 2차 과제는 글로벌 AI 기업 Numenta Inc. 및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과 협력을 통해 진행될 예정으로 총 연구개발비 64억 4000만 원 중 정부지원금 60억 원이 투입될 예정입다.
.
뉴로모픽 반도체 관련 자료 모음
뉴로모픽 반도체 관련주 이슈 히스토리
2024.11.27 | ✔️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이 주관하는 ‘AGI(인공일반지능)를 위한 뉴로모픽 알고리즘 및 뉴로모픽 반도체 핵심 원천 기술 개발’ 2차 과제에 핵심 연구기관으로 자람테크놀로지 선정 👉뉴스확인 ✅ 주도주 : 자람테크놀로 |
2024.03.06 | ✔️ 카이스트, 인간 뇌 모방해 초전력 AI 반도체 개발. ‘뉴로모픽 컴퓨팅’ 가능성 확인 [ 주도주 : 자람테크놀로지 ] 👉 뉴스확인 |
2024.02.21 | ✔️ 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 연산의 두뇌 역할을 할 차세대 AI 반도체 뉴로모픽 개발에 착수했다는 소식 [ 주도주 : 네패스아크 ] 👉 뉴스확인 |
2024.02.16 | ✔️ 삼성전자가 함돈희 하버드대 교수를 SAIT(옛 삼성종합기술원) 부원장에 선임 . 함 교수는 가장 진화 된 꿈의 AI반도체 ‘뉴로모픽 칩’ 권위자여서 삼성전자가 향후 관련 사업에 관심을 기울 일 것으로 전망. 👉 뉴스확인 |
CPU / GPU / NPU / TPU 차이점 그리고 뉴로모픽
CPU (Central Processing Unit)
기계학습을 실시하는 게 가능하지만 계산할 때마다 메모리에 접속하는 특징이 있어, 기계학습에 필요한 대량의 계산을 실행할 때에는 메모리 통신 속도가 병목현상이 돼 처리속도가 느려진다.
GPU (Graphics Processing Unit)
GPU에는 수천 개의 산술논리연산유닛(ALU)이 탑재돼 ‘량의 연산을 동시에 수행하는 처리가 CPU에 비해 압도적으로 빠른 기계학습이 가능하다.
하지만 GPU는 게임이나 CG 처리 등에도 활용할 수 있는 범용 칩이기 때문에 머신러닝 전용으로 설계된 칩에 비해 효율이 떨어진다.
NPU (Neural Processing Unit)
NPU는 머신러닝 전용으로 설계된 칩이기 때문에 GPU보다 더 효율적으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NPU는 머신러닝 전용 설계 칩이기 때문에 CPU나 GPU처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TPU (Tensor Processing Unit)
구글이 개발한 NPU의 일종. 구글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Google Cloud’를 통해 사용자에게 TPU의 처리 능력을 제공하고 있다. 사용자는 스스로 하드웨어를 준비하지 않아도 머신러닝 관련 처리를 고효율로 수행할 수 있다.
뉴로모픽이란? (Neuromorphic)
뇌에서 반도체의 미래를 찾는 연구로 뇌 신경 구조를 모방해 하드웨어 크기와 전력 소모를 대폭 줄일 수 있는 기술을 말합니다.
인간의 뇌는 1000억 개가 넘는 신경세포(뉴런, neuron)가 시냅스(synapse)라는 연결 고리를 통해 다른 뉴런과 서로 신호를 주고받으며 순식간에 정보를 처리하고 저장합니다. 약 1000억 개의 뉴런은 100조 개 이상의 시냅스가 병렬적으로 연결돼 약 20W 수준의 저전력으로도 기억 연산 추론 학습 등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습니다.
반면 AI 컴퓨터는 수행하는데 많은 전력을 필요하기 때문에 반도체 업계가 뇌 연구에 역량을 투입하는 이유입니다.
범용인공지능 (AGI,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사람의 수준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능력을 지닌 인공지능을 의미. 그래픽처리장치(GPU)가 AI 두뇌의 역할을 해왔는데, 차세대 AGI 반도체는 더 많은 데이터를 더 빠르게 연산하고 소모전력 역시 큰 폭으로 낮아야 한다
뉴로모픽 반도체 관련주, 테마주, 대장주
네패스아크 (뉴로모픽 반도체 대장주)
- 네패스에서 물적분할해 설립한 PMIC, SoC, RF 시스템 반도체 테스트 전문업체
- 시스템반도체 후공정 테스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음. 주요 제품군으로 전력반도체,(PMIC), 디스플레이 구동칩(DDI), SoC, RF등이 있음.
- 또한, FOPLP공정으로 패키지된 제품의 테스트가 진행 될 예정이며, 이미지센서(CIS) 테스트로의 진입을 준비 중임.
- 뉴로모픽 인공지능칩 테스트를 개발. 네패스 퓨처인텔리전스사업부에서 개발한 것으로 칩 자체에서 학습한 판단(인지) 기능을 모두 포함
차트 자세히 보기
앤씨앤 (뉴로모픽 반도체 수혜주)
- 영상보안시장향 멀티미디어 반도체 제품의 제조 및 판매를 주 사업으로 영위하며 이 밖에 자동차용 운행영상기록장치(블랙박스) 사업을 영위함.
- 2019년 Automotive 사업부분을 물적분할하여 넥스트칩 설립 및 자회사 앤커넥스 흡수합병 및 분할 존속회사 앤씨앤을 출범함. 매출은 차량용블랙박스 92.6%, 영상처리칩 7.4%의 비중으로 구성되어 있음.
-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로부터 ‘IT SW 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뉴로모픽)’을 지난 2019년 완료하고, 정보통신부의 ‘IT-SoC사업’ 등 다양한 정부과제를 완료 및 진행
차트 자세히 보기
에이직랜드 (뉴로모픽 반도체 테마주)
- 전세계 반도체 파운드리 기업 중 점유율 1위인 TSMC의 국내 유일 공식 협력사(VCA, Value Chain Alliance)
- TSMC 파운드리 공정을 사용하여 시스템 반도체를 위탁 생산하고 있고, 팹리스 기업을 주 고객사로 함.
- 고객사의 반도체 논리 회로 설계를 실제 TSMC의 파운드리를 통해 제조가 가능한 형태인 물리적 설계로 재설계해주는 디자인 솔루션 제공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국책과제를 통해 통해 AI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기업 디퍼아이와 함께 뉴로모픽 반도체 모듈 및 칩 개발에 성공
차트 자세히 보기
자람테크놀로지 (AGI 반도체 관련주)
- 통신 반도체 및 주요 통신 부품을 주력 사업으로 하고 있음.
- 반도체 설계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팹리스(Fabless)업체로 별도의 생산 설비를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외주 생산 비율은 100% 임.
- 차세대지능형반도체 기술개발사업 국책과제로 설계 부문을 맡아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과 디바이스용 인공지능(AI) 칩을 개발 중 (프로세서 설계 기술과, 분산처리기술, 저전력 반도체 설계 기술로 경쟁력 확보가 가능한 엣지향 인공지능 프로세서 개발 중)
- 해당 프로세서는 ‘SNN방식의 뉴로모픽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성능향상을 위해 CNN을 추가한 하이브리드형’라고 알려짐.
-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이 주관하는 ‘AGI(인공일반지능)를 위한 뉴로모픽 알고리즘 및 뉴로모픽 반도체 핵심 원천 기술 개발’ 2차 과제에 핵심 연구기관으로 선정
차트 자세히 보기
오픈엣지테크놀로지
- 공지능 기술을 엣지 환경에서 구현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시스템반도체 설계 IP 기술을 개발하는 사업을 주로 영위
- 고성능 Total Memory System IP Solution 및 동 솔루션과 신경망처리장치를 결합한 AI Platform IP Solution for Edge Computing을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제공
- 중소벤처기업부의 ‘모바일 AI 구현을 위한 뉴로모픽 반도체(NPU) IP 개발’을 수행
차트 자세히 보기
코리아에프티
- 카본 캐니스터, 플라스틱 필러넥 등 자동차 연료계통 부품과 실내외 의장 부품 등 친환경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고 있음.
- 현대차, 기아를 주요 매출처로 하여 자동차의 골격이 되는 차체 부품의 제조, 공급 및 판매회사임.
- 자율 주행 자동차 등 차세대 스마트 카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딥러닝 기반의 ADAS소프트웨어 알고리즘 ‘SKND(Smart Kftc Neuromorphic Detector)’ 개발에 성공하며 신성장동력을 확보
차트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