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령화 관련주 이슈 원인
정부에서 올해 저출산·고령화 대응에 100조 7000억 원이 투입된다는 소식에 고령화 관련주들이 시장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 고령화 관련주 이슈 히스토리
2025. 07.04 | ✔️ 올해 저출산·고령화 대응에 100조 7000억 원이 투입된다는 소식 👉뉴스확인 ✅ 주도주 : 에르코스 |
2025. 05.08 |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임플란트 건강보험 적용 연령 하향 조정 등 어르신 공약 발표 👉뉴스확인 ✅ 주도주 : 메타바이오메드 |
🧭 고령화 관련주 업종 동향 및 특징
- 초고령사회 진입 임박: 한국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국가 중 하나이며, 2025년에는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중이 20%를 넘어서는 ‘초고령사회’에 공식적으로 진입합니다
- 정부 정책의 중요성: 고령화 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의 정책 변화(연금 개혁, 복지 예산 증액, 에이지테크 육성 등)는 특정 기업이나 산업군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융합 산업의 부상: 헬스케어와 ICT 기술의 융합, 금융과 요양 서비스의 융합 등 다양한 산업 간의 경계가 허물어지면서 새로운 형태의 고령화 관련 기업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 기술 발전: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로봇 기술 등의 발전은 고령층의 건강 관리, 돌봄, 생활 편의 증진에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며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이를 ‘에이지테크(AgeTech)’ 라고 부르며, 글로벌 시장에서 연평균 23%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블루오션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 고령화 관련주, 테마주, 대장주
에르코스 (고령화 대장주)
- 영유아식품에서 대체식품, 고령친화식품 등으로 사업을 확장하며 온가족 푸드솔루션을 제공하는 푸드테크 기업임.
- 핵심 브랜드 ‘루솔’은 이유식 160여종, 고령친화 영양죽, 건강 제과제빵, 기능식품을 보유하고 있고, 대체식품 브랜드 ‘잇체인지’와 ‘야미요밀’로 식물성 대체육과 베이커리를 제공함.
- 실크단백질, TVP 등 핵심 기술을 보유하며, 기능성 원료 연구와 신규 제품군 개발로 사업 확장을 추진하고 있음.
🔎차트 자세히 보기
메타바이오메드 (고령화 수혜주)
- 치과용재료 및 기기, 생분해성 봉합원사, 미용성형용 원사, 정형외과 및 치과용골수복재 등을 연구개발·생산하며, 오송과 베트남에 생산기지, 미국·독일·중국·일본에 판매거점을 운영함.
- 연조직고정용장치 Anchor 제품과 복강경시술 기구 개발을 통해 메디칼소재 전문기업으로 성장을 추진하고 있음.
- 치과 임플란트 등 노인 치과 치료 수요 증가 수혜
🔎차트 자세히 보기
현대바이오랜드 (고령화 테마주)
- 천연물 기반의 화장품, 의약품, 기능성식품 원료 제조 및 판매를 위해 설립
- 오송, 안산, 오창에 있는 공장에서 화장품, 원료의약품, 건강기능식품, 의료기기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브랜드 사업도 영위함.
- 천연물의 생리활성 성분을 연구 개발하며 네슬레 헬스사이언스와 건강기능식품 분야의 유통과 기술 교류를 진행하고 있음.
- 건강식품의 원료(홍삼농축액분말,마린키토올리고당, 글로코사민분말) 사업과 Wound care(의료용 핵심원료소재인 콜라겐을 이용한 창상치료 의료기기 등) 의료기기 사업 영위.
- 치매(알츠하이머성)치료를 위한 천연물신약후보물질(BL153)이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에 선정.
🔎차트 자세히 보기
덴티움 (고령화 관련주)
- 치과용 의료기기 및 생체재료를 Total Solution으로 제공하는 치과용 의료기기 전문기업임.
- 임플란트가 매출의 85%를 차지하며, CBCT 등 디지털장비 2%, 바이오 의약품 합성골 13%의 비중을 보이고, 해외 16개 판매법인과 3개 제조법인, 3개 기공소법인을 운영함.
- 디지털 덴티스트리 Full-Line Up 구축과 수소연료전지 사업 진출로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음.
- 고령화 사회시 노인 임플란트 치과 치료 수요 증가
🔎차트 자세히 보기
씨유메디칼
- 의료기기 개발,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어 아시아 최초로 심장충격기를 개발한 의료기기 전문기업임.
- 심장충격기 및 관련 사업을 주력으로 하여 병원, 의료기관, 소방서, 공공기관, 아파트, 기업체 등을 주요 고객으로 확보하고 있으며, 독일과 일본에 현지 법인을 운영하며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고 있음
- IOT를 이용한 원격관리 및 그룹관리시스템, 가정용 AED 시스템 등을 개발하여 시장 변화에 대응하고 있음.
🔎차트 자세히 보기
비트컴퓨터 (에이지테크 관련주)
- 의료정보시스템 전문기업임.
- 의료정보사업부문에서는 병원급 의료기관용 통합의료정보시스템 bitnixHIS와 중소형 병원용 클라우드 기반 클레머를 공급하고 있음.
- 디지털헬스케어 분야의 연구개발을 지속 추진하며, 원격의료시스템 비트케어플러스와 원격건강모니터링서비스 비트케어 등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을 확대하고 있음.
- 노인 및 만성 질환자의 건강 관리 서비스인 ‘드림케어 TV’ 운영.
🔎차트 자세히 보기
종근당 (노인 요양산업 관련주)
- 전문의약품(ETC) 및 일반의약품(OTC) 사업을 영위하며, 국내 신약 제8호 항암제 캄토벨, 당뇨병 치료제 듀비에정, 네스프 바이오시밀러 네스벨을 개발 출시함.
- 매출액 대비 9~11%의 R&D 투자로 바이오신약, ADC플랫폼 기술 등 다양한 신약개발을 진행하고 있음.
- 2021년 8월 서울 강동구에 선보인 노인요양시설 벨포레스트를 종근당산업이 운영
- 성남에 위치한 최고급 프리미엄 요양원 ‘헤리티지너싱홈’ 인수
🔎차트 자세히 보기
오텍 (노인복지 관련주)
- 특수차량 제조 전문기업으로 음압 앰뷸런스, 복지차량, 암검진 진료차량, 특수 물류차량, 의료기기, 자동차부품을 생산함.
- 연결회사 오텍캐리어는 가정용·상업용 냉난방기기와 산업용 에어컨을, 씨알케이는 쇼케이스를, 오텍오티스파킹시스템은 기계식주차장치를 제공함.
- 세계 최초 분리형 인버터 에어컨 도시바 캐리어 신제품을 출시하고 IoT, AI 기반 빌딩 효율 관리 솔루션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음.
- 이동식 목욕 차량 등 특수차량 제조 전문 기업으로 노약자 이동 편의 증진에 기여.
- 고령층에 특화한 ‘실버차’로 사업을 확장
🔎차트 자세히 보기
코웨이
- 정수기, 공기청정기, 비데 등을 생산·판매하는 환경가전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2025년 기준 약 721만의 계정을 보유하고 있음.
- 최대 생산시설과 R&D센터를 갖추고 유구, 인천, 포천과 말레이시아, 미국, 중국, 태국 등 글로벌 시장에서 사업을 운영함.
- 지속가능경영을 위해 ESG 경영을 강화하며 기업과 사회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고 있음.
- 프리미엄 실버케어 전문 기업 코웨이라이프솔루션이 국내 대표 시니어 헬스케어 기업 ‘케어닥’과 함께 시니어 고객을 위한 맞춤형 간병·요양 서비스 제휴 혜택
🔎차트 자세히 보기
대원제약 (보청기 관련주)
- 의약품,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
- 매출비중은 제약부문 89.5%, 화장품부문 5.7%, 건강기능식품부문 4.7%를 차지함.
- 신약·개량신약·제네릭의약품을 국내 병·의원·약국에 공급하며, 우수한 GMP급 생산시설과 특화된 제품력으로 수탁사업과 해외사업을 진행하고 있음.
- 보청기 전문 제조업체인 딜라이트의 지분을 상당수(67.8%) 보유
🔎차트 자세히 보기
❓ 고령화 관련주 궁금한점 물어보세요
💰 고령화 관련주에는 어떤 종류가 있나요?
크게 헬스케어(제약, 의료기기, 디지털 헬스케어), 실버산업(요양, 시니어 주거, 고령친화식품, 용품), 그리고 고령층 편의 증진 기술(돌봄 로봇, AI 서비스) 관련 기업들이 있습니다.
🏆 고령화 관련주, 왜 지금 주목해야 하나요?
2025년 한국은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있습니다. 이는 노년층 인구 비중이 급증하면서 의료, 복지, 여가 등 고령층 맞춤형 산업의 성장 잠재력이 매우 커지기 때문입니다.